• 메인
  • Market
이번주 방송스케쥴

美 증시 하락...트럼프 發 관세 전쟁 고조-[글로벌 시황]

2025-03-14 08:21:39
글로벌 마감 시황 전해드립니다.

(3대 지수) 오늘 장 미국 증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오늘 시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서 자유롭지 못했는데요. 2월 생산자 물가지수 PPI가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PCE 지수에 반영되는 구성 요소들의 상승폭은 크게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심이 존재했습니다. 오늘 다우 지수 1.30%, 나스닥 지수 1.96%, S&P 500 지수 1.39% 하락했습니다.

(섹터) 섹터별 움직임도 보시면요. 일제히 파란 불 켜낸 모습입니다. 특히 오늘 아마존, 테슬라 그리고 메타가 큰 폭으로 급락했죠. 임의소비재주와 커뮤니케이션주가 2% 넘게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는데요. 또 어도비의 2분기 실적 전망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기술주의 낙폭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기술주는 오늘 1.78% 하락했고요. 오늘 국제유가도 1% 넘게 하락하면서, 에너지주도 0.6% 가까이 동반 하락했습니다.

(시총 상위) 시총 상위 종목들의 등락률도 확인해 보시죠. 오늘 버크셔해서웨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총 상위 종목들도 파란 불 켜냈는데요. 특히 앞서 전해드린 대로 오늘 아마존과 테슬라, 메타가 3% 가까이 혹은 넘게 급락했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우는 다음주에 열릴 GTC 2025를 주시하며, 오늘 약보합권에 마감했고요.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총 순위를 추월한 모습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채) 그럼 오늘 나온 지표와 함께 국채 시장의 움직임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그 전에 현지시간으로 이른 아침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EU에서 생산되는 주류 상품에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후 미국의 2월 생산자물가지수 PPI가 지난해 대비 3.2% 상승하며, 예상치를 밑돌자, 10년물 국채 금리는 상승폭을 확대해 나갔는데요. 하지만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 PCE 지수에 반영되는 구성 요소들의 상승폭은 크게 나타났고,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히면서, 국채 가격은 상승, 금리는 다시 내리막길을 걸었습니다. 오늘 30년물 국채 입찰도 진행됐는데요. 입찰 금리가 4.62%로 시중금리를 웃돌았고, 응찰률은 2.37배로 6개월 평균치를 하회하면서, 오늘 30년물 국채 입찰의 수요는 부진했습니다. 오늘 10년물 국채금리는 4.27%에 거래됐고요. 2년물 국채금리는 3.96%에 거래됐습니다.

(환율) 오늘 외환시장의 움직임은 그렇게 크지는 않았습니다. 미국 달러화가 소폭 상승하긴 했으나, 여전히 103선 대에서 횡보하고 있는데요. UBS에서는 지난 몇 주 동안 달러가 크게 약세를 나타냈다며, 이제 회복 시기가 다가올 거라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다음주 FOMC와 계속해서 나올 경제지표, 그리고 관세 발표를 주시해야 하는데요. 오늘 달러 인덱스는 103선 후반에 머물렀고요. 엔 달러 환율은 147엔 후반에 거래됐습니다. 원 달러 환율은 1천 457원에 거래됐고 역외환율에서는 1천 454원에 거래됐습니다.

(유럽) 오늘 유럽증시는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영국 풋지 지수 홀로 강보합권에 거래됐는데요. 유럽연합이 미국의 위스키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대한 보복으로 EU에서 생산되는 주류 제품에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죠. 주류 기업들의 주가가 오늘 타격을 받으며 유로스톡스 600 지수는 0.15% 하락했고요. 독일 닥스 지수도 오늘 0.48%, 프랑스 꺄끄 지수도 0.64% 하락했습니다.

(금) 금 선물은 오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3천 달러를 향해 달려 가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와 불확실한 관세로 인해 금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자극되고 있는데요. 얼리전스 골드에서는 올해 금 값이 최대 3천 2백 달러까지 상승할 거라 내다봤고요. 맥쿼리에서는 올해 3분기까지 최대 3천 500달러까지 상승할 거라 전망했습니다. 오늘 금 선물은 2천 996달러에 거래됐습니다.

마지막으로 내일 장 체크 포인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내일은 미시간대에서 집계한 미국의 3월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 심리지수가 공개될 예정이고요. 영국의 1월 GDP와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마감 시황이었습니다.

김예림 외신캐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