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Market
이번주 방송스케쥴

기대에 못 미친 알리바바 실적·주가…기술적 상단은 165달러 [레버리지셰어즈 인사이트]

신인규 기자 2025-05-23 09:21:26
기대에 못 미친 알리바바 실적·주가…기술적 상단은 165달러 [레버리지셰어즈 인사이트]
[편집자 주 : 세계에서 가장 발전한 금융 시장은 영국입니다. 세계 3대 거래소인 런던거래소는 전세계 선물·옵션 거래의 절반을 담당합니다. 발전된 금융기법을 토대로, 미국 시장에서도 할 수 없는 고배율 레버리지 투자 역시 이 곳에서 이뤄집니다. 고배율 투자만큼, 영국 시장은 투자의 위험성을 감수하기 위한 분석도 함께 발달되어 있습니다. 영국의 대표적 레버리지 전문 자산운용사인 레버리지셰어즈(Leverage Shares)의 시장 분석·인포그래픽을 한국경제TV에 옮겨 싣습니다.]



알리바바 실적 요약: 시장 기대에 못 미친 분기 성과
알리바바는 3월 31일 마감된 회계연도 4분기 실적에서 매출과 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투자자 실망을 불러왔다. 조정 ADS 1주 당 순이익은 기준 12.52위안(1.73달러)로, 애널리스트 예상치였던 12.94위안에 못 미쳤다. 매출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2,364.5억 위안이었으나, 시장 예상치인 2,372.4억 위안에 미치지 못했다. 실적 발표 이후 미국 상장 주가는 6% 하락했으며, 올해 누적으로는 46% 상승한 상태다.
" 알리바바, 4분기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기대 하회
" 매출: 2,365억 위안(326억 달러) vs 예상치 2,372억 위안
" 순이익: 124억 위안 vs 예상치 247억 위안으로 크게 하회


소비 심리 위축, 핵심 전자상거래 부문에 부담
중국 내 장기적인 부동산 침체와 거시경제 불확실성은 소비 심리를 지속적으로 위축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징동, 핀둬둬 등과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타오바오·티몰 그룹으로 구성된 알리바바의 이커머스 부문은 전년 대비 9%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으며, 이는 소비자 참여도와 주문량 증가에 힘입은 결과다.

경쟁력 유지를 위해 알리바바는 상품 구매 1시간 이내 배송까지 완료하는 '즉시 소매(instant retail)' 부문으로 확장 중이다. 타오바오 플랫폼에 신규 기능으로 탑재되었고, 쿠폰 및 프로모션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경영진은 이 부문을 핵심 성장 영역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10억 명 소비자 도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및 클라우드 부문이 장기 성장 전망 견인
긍정적인 지점은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부문에서 나타났다. 해당 부문은 전년 대비 18% 증가한 301.3억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이는 공공 클라우드 수요와 AI 관련 제품 도입 증가에 따른 것이다.

알리바바는 중국 내 AI 분야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4월에는 자사 오픈소스 AI 모델의 최신 버전 Qwen 3를 출시했고, 이 모델은 AI 비서 퀘크(Quark) 등 다양한 툴에 적용되고 있다. IR 발표에 따르면, AI 관련 제품 매출은 7개 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CEO 에디 우(Eddie Wu)는 향후 3년간 기술 인프라에 5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국제 사업 및 무역 긴장
국제 이커머스 부문인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는 전년 대비 22%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지만, 예상치였던 26.4%에는 못 미쳤다. 이 차이는 미국의 관세가 해외 사업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나, 알리바바는 이에 대해 직접 언급하진 않았다. CEO 에디 우는 글로벌 무역 규제의 불확실성이 향후 역풍이 될 수 있음을 인정했으며, 특히 알리익스프레스 플랫폼에 대한 리스크가 있다고 밝혔다.

미·중 간 긴장은 여전히 실질적인 위협으로 남아 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로 맞대응하며 긴장이 이어지던 가운데, 최근 대부분의 관세를 유예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불안정성은 이미 4분기 시장 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기술적 분석
실적 발표 후 혼재된 결과로 인해 알리바바 주가는 하락했으며, 현재 주가는 실적 발표 이후 약 6% 하락한 상태다. 다만 연초 대비로는 45% 상승 중이며, 이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기업 및 소비자 대상 확장 가능성과 AI 경쟁력에 대한 신뢰가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주가는 여전히 3월 중순 고점보다 낮은 수준이며, 경쟁 압력과 거시경제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기술적으로 보면, 주가는 최근 3년간 58.01~125.84달러 사이의 넓은 박스권 내에서 횡보했고, 2025년 2월에는 주요 저항선을 돌파하며 2020년 10월 고점 이후 이어진 하락 추세가 종료되었음을 시사했다. 이 돌파는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며, 기술적 상단 목표는 160~165달러 구간으로 설정되고 있다.

전망: 주요 동인과 리스크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 쇼핑 행사 중 하나인 618 쇼핑 페스티벌을 앞두고 있으며, 이미 사전 판매를 개시한 상태다. 경영진은 즉시 커머스 강화와 샤오홍슈 등 플랫폼과의 통합이 소비자 참여도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 지배력 회복에는 여전히 도전과제가 많다. 경쟁 심화와 불확실한 거시경제 환경 속에서 알리바바는 신중한 전략 실행과 단기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다. 클라우드 및 AI 부문에서의 장기적 성장 전망은 긍정적이지만, 투자자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확실한 실적 개선이 동반되어야 한다.

전문 투자자들은 Leverage Shares 알리바바 롱 +3x ETP 또는 알리바바 숏 -3x ETP를 통해 알리바바 주가 흐름에 대한 레버리지 전략을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