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내부고발자 그룹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오픈AI가 직원들의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잠재적 위험을 규제 당국에 보고하는 것을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포스트가 입수한 7페이지 분량의 서한에 따르면, 내부고발자들은 오픈AI가 직원들에게 제한적인 고용, 퇴직금, 비공개 계약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계약은 직원들이 연방 규제 당국에 회사에 대한 우려를 제기할 경우 처벌받을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널리 사용되는 AI 도구 ChatGPT를 만든 오픈AI는 직원들에게 내부고발자 보상에 대한 연방 권리를 포기하는 계약에 서명하도록 요구했다고 한다.
내부고발자들은 서한을 통해 AI 기술 관련 업무를 하는 직원들이 연방 규제 당국이나 법 집행 기관에 불만을 제기하거나 우려사항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의 한나 웡 대변인은 워싱턴포스트에 회사의 내부고발자 정책이 직원들의 공개 권리를 보호한다고 말했다.
웡 대변인은 "또한 우리는 이 기술에 대한 엄격한 토론이 필수적이라고 믿으며, 이미 퇴사 과정에서 비방 금지 조항을 제거하는 등 중요한 변화를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한 내부고발자는 워싱턴포스트에 AI 기업들이 감시와 반대 의견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한다면 "안전하고 공익에 부합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없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번 사건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가 잠재적인 독점금지법 위반 우려로 오픈AI 이사회에서 철수한 이후 발생했다.
이번 사건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 분야에서 투명성과 책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특히 잠재적으로 영향력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에서 강력한 내부고발자 정책과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만약 오픈AI에 대한 의혹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해당 기업과 AI 업계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최근 오픈AI 이사회 퇴진에서 볼 수 있듯이 기술 산업의 독점금지법 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