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우드스트라이크(나스닥: CRWD)에 대해 최근 3개월간 21명의 애널리스트가 분석한 결과, 매우 낙관적인 견해부터 다소 신중한 견해까지 다양한 관점이 제시됐다.
아래 표는 최근 30일간의 평가와 이전 달의 평가를 비교해 애널리스트들의 최근 평가를 요약한 것이다.
| 매우 낙관 | 다소 낙관 | 중립 | 다소 비관 | 매우 비관 |
---|
전체 평가 | 7 | 13 | 1 | 0 | 0 |
최근 30일 | 0 | 1 | 0 | 0 | 0 |
1개월 전 | 1 | 2 | 1 | 0 | 0 |
2개월 전 | 6 | 9 | 0 | 0 | 0 |
3개월 전 | 0 | 1 | 0 | 0 | 0 |
애널리스트들의 12개월 목표주가를 살펴보면 평균 405.52달러, 최고 440달러, 최저 370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평균 목표주가 403.05달러에서 0.61% 상승한 수준이다.

애널리스트 평가 심층 분석
최근 애널리스트들의 평가를 자세히 분석해보면 금융 전문가들이 크라우드스트라이크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 수 있다. 다음은 주요 애널리스트들의 최근 평가와 목표주가 조정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애널리스트 | 증권사 | 조치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잭슨 에이더 | 키뱅크 | 하향 | 비중확대 | 420.00달러 | 440.00달러 |
에릭 히스 | 키뱅크 | 상향 | 비중확대 | 440.00달러 | 380.00달러 |
롭 오웬스 | 파이퍼 샌들러 | 유지 | 중립 | 400.00달러 | 400.00달러 |
존 디푸치 | 구겐하임 | 유지 | 매수 | 424.00달러 | 424.00달러 |
이 푸 리 | 캔터 피츠제럴드 | 유지 | 비중확대 | 400.00달러 | 400.00달러 |
매튜 헤드버그 | RBC 캐피털 | 유지 | 시장수익률 상회 | 420.00달러 | 420.00달러 |
루디 케신저 | DA 데이비슨 | 하향 | 매수 | 380.00달러 | 425.00달러 |
키스 바크먼 | BMO 캐피털 | 하향 | 시장수익률 상회 | 410.00달러 | 425.00달러 |
마이클 워클리 | 캐넉코드 제뉴이티 | 상향 | 매수 | 405.00달러 | 400.00달러 |
롭 오웬스 | 파이퍼 샌들러 | 유지 | 비중확대 | 400.00달러 | 400.00달러 |
이타이 키드론 | 오펜하이머 | 상향 | 시장수익률 상회 | 400.00달러 | 355.00달러 |
이 푸 리 | 캔터 피츠제럴드 | 유지 | 비중확대 | 400.00달러 | 400.00달러 |
타즈 쿠잘기 | 웨드부시 | 하향 | 시장수익률 상회 | 385.00달러 | 390.00달러 |
패트릭 콜빌 | 스코샤뱅크 | 하향 | 섹터 아웃퍼폼 | 393.00달러 | 400.00달러 |
그레그 모스코위츠 | 미즈호 | 하향 | 매수 | 370.00달러 | 390.00달러 |
그레이 파웰 | BTIG | 하향 | 매수 | 402.00달러 | 432.00달러 |
캐서린 트렙닉 | 로젠블랫 | 상향 | 매수 | 420.00달러 | 415.00달러 |
알렉스 헨더슨 | 니덤 | 유지 | 매수 | 425.00달러 | 425.00달러 |
브라이언 에식스 | JP 모건 | 상향 | 비중확대 | 400.00달러 | 371.00달러 |
함자 포더왈라 | 모건스탠리 | 상향 | 비중확대 | 422.00달러 | 372.00달러 |
트레버 월시 | JMP 시큐리티즈 | 유지 | 시장수익률 상회 | 400.00달러 | 400.00달러 |
주요 인사이트:
- 조치: 애널리스트들은 시장 동향과 기업 실적에 따라 투자의견을 업데이트한다. '유지', '상향', '하향' 등의 조치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에 대한 최근 동향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반응을 보여준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현재 기업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 투자의견: '시장수익률 상회'부터 '시장수익률 하회'까지 다양한 정성적 평가를 통해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투자의견은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향후 성과에 대한 기대치를 나타낸다.
- 목표주가: 애널리스트들이 설정한 미래 주가 예상치다. 현재 목표주가와 이전 목표주가를 비교해보면 애널리스트들의 기대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주가의 향후 잠재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정보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시장 성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면 이러한 애널리스트 평가와 함께 주요 재무지표를 함께 살펴봐야 한다. 평가표를 참고해 정보에 입각한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란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소개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엔드포인트, 클라우드 워크로드, ID, 보안 운영 등 차세대 보안 부문을 전문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사이버보안 기업이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주력 상품은 팔콘 플랫폼으로, 기업의 IT 인프라를 공격하는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텍사스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2011년 설립돼 2019년 상장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재무 실적
시가총액 분석: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시가총액을 보이고 있어 경쟁사들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긍정적인 매출 추세: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3개월 재무 실적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모습이다. 2024년 4월 30일 기준 매출 증가율은 32.99%로, 상당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정보기술 섹터 내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이다.
순이익률: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순이익률은 4.65%로 업계 평균을 하회해 수익성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회사의 ROE는 1.77%로 업계 기준치를 밑돌아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ROA는 0.63%로 업계 평균 이하여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부채 관리: 부채비율이 0.31로 업계 평균 이하를 기록해 신중한 재무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부채 관리에 균형 잡힌 접근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애널리스트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나?
애널리스트들은 은행과 금융 시스템에서 일하며 주로 특정 주식이나 섹터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 기업 컨퍼런스 콜과 미팅에 참석하고 재무제표를 분석하며 내부 관계자들과 소통해 주식에 대한 '애널리스트 평가'를 발표한다. 대개 분기에 한 번씩 각 종목에 대해 평가한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주식 거래에 도움이 되는 실적, 매출, 성장 추정치 등 유용한 지표에 대한 예측도 제공한다. 주식 및 섹터 애널리스트들이 전문가이긴 하지만 이들 역시 사람이며 자신의 의견을 투자자들에게 제시할 뿐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