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투자자들의 기업 분석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 Holdings, NASDAQ:CRWD)를 소프트웨어 업계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클라우드 기반 사이버보안 기업으로, 엔드포인트, 클라우드 워크로드, ID, 보안 운영 등 차세대 보안 분야를 전문으로 한다. 주력 상품인 팔콘(Falcon) 플랫폼은 기업의 IT 인프라를 공격하는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통합 솔루션이다. 2011년 설립된 이 텍사스 소재 기업은 2019년 상장했다.
회사 | P/E | P/B | P/S | ROE | EBITDA (십억 달러) | 매출총이익 (십억 달러) | 매출 성장률 |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홀딩스 | 490.58 | 25.33 | 19.77 | 1.77% | $0.11 | $0.7 | 32.99% |
마이크로소프트 | 38.38 | 13 | 13.98 | 8.93% | $33.55 | $43.35 | 17.03% |
오라클 | 37.78 | 44.38 | 7.47 | 43.89% | $6.21 | $10.36 | 3.26% |
서비스나우 | 80.82 | 19.17 | 16.48 | 4.41% | $0.56 | $2.08 | 24.19% |
팔로알토 네트웍스 | 48.22 | 24.18 | 15.17 | 6.32% | $0.33 | $1.47 | 15.33% |
젠 디지털 | 26.59 | 7.28 | 4.30 | 5.81% | $0.49 | $0.78 | 2.11% |
먼데이닷컴 | 574.73 | 13.71 | 14.84 | 0.85% | $-0.0 | $0.19 | 33.69% |
돌비 래버러토리스 | 41.41 | 3.18 | 6.19 | 4.1% | $0.13 | $0.33 | -3.02% |
컴볼트 시스템스 | 33.57 | 19.81 | 6.76 | 55.72% | $0.02 | $0.18 | 9.74% |
퀄리스 | 33.26 | 13.10 | 9.47 | 10.29% | $0.05 | $0.12 | 11.57% |
테라데이타 | 75.12 | 56.50 | 1.76 | 21.16% | $0.07 | $0.28 | -2.31% |
N-able | 94.40 | 3.69 | 6.08 | 1.05% | $0.03 | $0.1 | 13.96% |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 34.37 | 5.97 | 3.51 | 3.75% | $0.05 | $0.14 | -1.78% |
솔라윈즈 | 194.83 | 1.53 | 2.54 | 1.14% | $0.07 | $0.17 | 3.94% |
평균 | 101.04 | 17.35 | 8.35 | 12.88% | $3.2 | $4.58 | 9.82%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주가수익비율(P/E)이 490.58로 업계 평균의 4.86배에 달해 높은 프리미엄이 책정된 상태다.
- 주가순자산비율(P/B)은 25.33으로 업계 평균의 1.46배다. 장부가 대비 고평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 주가매출비율(P/S) 역시 19.77로 업계 평균의 2.37배에 달해 매출 실적 대비 고평가 소지가 있다.
-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77%로 업계 평균보다 11.11% 낮아 자본 활용의 비효율성이 드러났다.
- EBITDA는 1억1000만 달러로 업계 평균의 0.03배에 불과해 수익성이 낮거나 재무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매출총이익은 7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0.15배에 그쳐 생산 비용을 제외한 수익이 낮은 편이다.
- 매출 성장률은 32.99%로 업계 평균 9.82%를 크게 웃돌아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부채비율(D/E)은 기업의 자본 구조와 재무 레버리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간략히 파악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유용하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부채비율을 상위 4개 경쟁사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부채비율은 0.31로 상위 4개 경쟁사 중 가장 낮아 재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 이는 부채 조달 의존도가 낮고 부채와 자본의 균형이 양호함을 의미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주요 시사점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PE, PB, PS 비율은 모두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돌아 주가 고평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ROE, EBITDA, 매출총이익 등 실적 지표는 소프트웨어 업계 경쟁사들에 비해 저조해 운영 효율성과 수익 창출 능력 개선의 여지가 있다. 다만 매출 성장세는 두드러져 향후 성장 잠재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