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체이스(JPMorgan Chase & Co)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CEO가 현재의 경제 안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의 임박한 침체 가능성을 재차 경고했다.
다이먼 CEO는 7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을 35~40%로 전망하며, 경기 침체가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로 낮출 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했다.
다이먼 CEO는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며 "지정학적 위험, 주택 시장, 재정 적자, 지출, 양적 긴축, 선거 등 모든 요소가 시장에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최대 은행의 수장인 다이먼 CEO는 2022년부터 경제 '허리케인'을 경고해 왔다. 예상보다 경제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신용카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 미국이 침체 상태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다이먼 CEO는 "항상 다양한 결과가 있을 수 있다"며 "경미한 침체나 심각한 침체가 온다 해도 우리는 괜찮을 것이라고 낙관한다. 물론 실직자들에 대해서는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 우리는 경착륙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이먼 CEO의 경기 침체 전망은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한 상반된 견해들 속에서 나왔다. 최근 시장 혼란에도 불구하고 다이먼 CEO는 "우리는 이를 극복할 것"이라며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경제 상황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클라우디아 삼(Claudia Sahm) 경제학자는 미국 경제가 침체 상태라는 주장을 반박하며, 현재의 경제 사이클이 특이하고 전통적인 지표들이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월가의 베테랑 투자자 에드 야르데니(Ed Yardeni)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에 반대하며, 7월의 약한 고용 보고서가 경기 침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한편, CNBC 진행자 짐 크레이머(Jim Cramer)는 현재의 기업 실적이 임박한 경기 침체를 시사하지 않는다며 안심시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 기사는 벤징가 뉴로(Benzinga Neuro)에 의해 생성되었으며 카우스투브 바갈코테(Kaustubh Bagalkote)가 편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