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이번주 방송스케쥴

    인슐린 가격 담합 의혹... 주정부·지방정부 고소 속 `돈벌이` 논란

    Vandana Singh 2024-08-27 02:59:43
    인슐린 가격 담합 의혹... 주정부·지방정부 고소 속 `돈벌이` 논란
    여러 주정부와 지방정부가 제약회사와 약국혜택관리업체(PBM)를 상대로 인슐린 가격 담합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환자를 위해 싸운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비난하는 그 시스템의 혜택을 조용히 누려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포브스 보도에 따르면, 수년간 이들 주정부와 시 정부는 PBM이 약품 보험 적용 협상 과정에서 확보한 리베이트의 일부를 요구해왔다. 현재 문제 삼고 있는 관행으로 이익을 얻어온 셈이다.

    PBM은 처방약 시장에서 강력한 문지기 역할을 하며, 어떤 약품이 보험 적용을 받고 얼마에 판매될지 결정한다.

    현재 소송을 제기한 정부 원고들은 오랫동안 이런 구조에서 이익을 얻어왔다고 포브스는 지적했다.

    제약사와 환자들은 이 비정상적인 시스템의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소송에서는 주로 인슐린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다며 제약사와 PBM을 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장은 면밀히 살펴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인슐린 가격은 꾸준히 하락해왔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라이 릴리(Eli Lilly And Co, NYSE:LLY)는 자사의 휴마로그 인슐린 순가격이 2018년 바이알당 62달러에서 2023년 26달러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작년 바이오시밀러 리스프로는 바이알당 17달러에 불과했다.

    지난해 사노피(Sanofi SA, NASDAQ:SNY)와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 A/S, NYSE:NVO)도 인슐린 제품 가격을 대폭 인하했다.

    보도에 따르면 소송에서 더 설득력 있는 주장은 PBM이 제약사에 리베이트와 수수료를 요구해 환자 비용을 올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불은 약품 정가와 연계돼 있어 PBM이 더 높은 가격의 약품을 선호하게 만든다. 더 큰 리베이트를 협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절감액은 환자에게 돌아가지 않고 PBM과 이들을 고용한 보험사가 챙긴다.

    아이러니하게도 PBM을 고소하는 여러 주정부와 지방정부는 자신들의 수혜자들이 복용하는 약품에 대해 PBM이 리베이트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들 건강보험은 그 절감액을 공유하지 않기로 선택했고, 이는 문제의 공범임을 보여준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PBM 이익은 12% 증가해 280억 달러에 달했다고 보도는 강조했다. 현재 리베이트와 수수료는 브랜드 의약품에 쓰이는 1달러당 42센트를 차지하며, 2022년 총액은 720억 달러에 달했다.

    환자들은 이 구조에서 소외됐다. 환자의 비용 분담은 할인된 가격이 아닌 정가를 기준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PBM과 이들을 고용한 보험사는 두 번 이익을 얻는다. 제약사로부터 거액의 리베이트를 받고, 환자에게는 인위적으로 부풀린 본인부담금을 부과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