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이번주 방송스케쥴

    P&G vs 경쟁사들... 가정용품 업계 실적 비교

    Benzinga Insights 2024-10-18 00:00:32
    급변하는 경쟁 치열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기업을 신중히 평가하는 것은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 기사에서는 프록터앤드갬블(NYSE:PG)을 가정용품 업계의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 분석한다. 주요 재무지표, 시장 지위, 성장 전망 등을 분석해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 업계 내 P&G의 실적을 조명한다.

    프록터앤드갬블(P&G) 소개

    1837년 설립된 P&G는 세계 최대 소비재 제조업체 중 하나로 연간 매출 8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타이드 세제, 샤민 화장지, 팬틴 샴푸, 팸퍼스 기저귀 등 20개 이상의 10억 달러 이상 연간 글로벌 매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해외 매출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회사PERPBRPSRROEEBITDA (10억 달러)매출총이익 (10억 달러)매출 성장률
    프록터앤드갬블28.638.185.076.2%$4.85$10.18-0.1%
    콜게이트-팜올리브29.50672.204.18414.16%$1.25$3.074.89%
    킴벌리-클라크21.5943.272.4449.91%$0.84$1.81-2.05%
    처치앤드와이트32.305.954.315.79%$0.4$0.713.92%
    클로록스72.6461.622.88103.1%$0.35$0.88-5.75%
    레이놀즈 컨슈머 프로덕츠17.773.131.724.82%$0.17$0.26-1.06%
    WD-4051.8016.076.239.02%$0.03$0.089.4%
    스펙트럼 브랜즈 홀딩스23.531.241.240.28%$0.08$0.35.97%
    센트럴 가든 앤 펫14.171.300.635.14%$0.14$0.32-2.63%
    에너자이저 홀딩스230.5718.780.80-27.84%$0.01$0.280.29%
    오일-드라이12.822.411.413.08%$0.02$0.035.88%
    평균50.6782.62.5856.75%$0.33$0.771.89%


    P&G에 대한 자세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ER 28.63배로 업계 평균보다 0.57배 낮아 합리적인 가격에 성장 잠재력이 있어 보인다.

    - PBR 8.18배로 업계 평균의 0.1배에 불과해 장부가 대비 저평가됐을 가능성이 있다.

    - PSR 5.07배로 업계 평균의 1.97배에 달해 매출 실적 대비 고평가됐을 수 있다.

    - ROE 6.2%로 업계 평균보다 50.55% 낮아 자기자본 활용 효율성이 떨어진다.

    - EBITDA 48.5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14.7배에 달해 수익성과 현금창출 능력이 뛰어나다.

    - 매출총이익 101.8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13.22배에 달해 핵심 사업의 수익성이 높다.

    - 매출 성장률 -0.1%로 업계 평균 1.89%를 크게 밑돌아 매출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부채비율

    debt to equity

    부채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 대비 부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업계 비교 시 부채비율을 고려하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간결하게 평가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P&G를 업계 상위 4개 경쟁사와 부채비율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G는 업계 상위 4개 경쟁사 대비 재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 부채비율 0.67로 상대적으로 낮아 부채 의존도가 낮고 부채와 자기자본 간 균형이 잡혀있어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주요 시사점

    P&G의 경우 PER과 PBR이 경쟁사 대비 낮아 저평가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PSR은 높아 매출 대비로는 고평가됐을 수 있다. ROE와 매출 성장률은 낮지만 EBITDA와 매출총이익은 높아 가정용품 업계 내에서 영업 효율성은 높지만 성장 잠재력은 제한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