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투스인베스트먼트(Virtus Inv, 나스닥: VRTS)가 오는 2024년 10월 25일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주요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자.
증권가는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주당순이익(EPS)이 6.78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버투스인베스트먼트 주주들은 회사가 이 전망치를 상회하는 것은 물론 다음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나 성장 전망을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실적 자체의 호조나 부진보다는 향후 전망이나 가이던스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적 추이 개요
지난 분기 버투스인베스트먼트는 EPS가 예상을 0.08달러 하회했고, 이에 따라 다음 날 주가는 변동이 없었다.
다음은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과거 실적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을 보여준다.
분기 |
2024년 2분기 |
2024년 1분기 |
2023년 4분기 |
2023년 3분기 |
---|
EPS 예상 |
6.61 |
5.41 |
5.96 |
6.17 |
EPS 실제 |
6.53 |
5.41 |
6.11 |
6.21 |
주가변동률 |
-5.0% |
-2.0% |
-3.0% |
0.0% |

버투스인베스트먼트 주가 동향
10월 23일 기준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주가는 209.24달러였다. 최근 52주 동안 주가는 21.19% 상승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수익률을 고려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앞두고 낙관적인 입장일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의 버투스인베스트먼트 전망
투자자들에게 시장 분위기와 업계 기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분석에서는 버투스인베스트먼트에 대한 최신 견해를 살펴본다.
버투스인베스트먼트에 대한 증권가의 종합 의견은 '비중축소(Underperform)'다. 이는 3명의 애널리스트 평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10.33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0.52%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경쟁사와의 평가 비교
이 비교에서는 업계 주요 기업인 위즈덤트리(WisdomTree), 파트리아인베스트먼트(Patria Investments), P10의 애널리스트 평가와 1년 평균 목표주가를 살펴봄으로써 상대적인 실적 기대치와 시장 포지셔닝에 대해 알아본다.
- 위즈덤트리에 대해 증권가는 현재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3.5달러로 93.55%의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 파트리아인베스트먼트에 대한 증권가의 종합 전망은 '매수'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4.0달러로 93.31%의 하락 여지를 나타낸다.
- P10에 대해 증권가는 현재 '중립'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1.6달러로 94.46%의 하락 가능성을 제시한다.
종합적인 동종업계 분석 요약
이 동종업계 분석 요약은 위즈덤트리, 파트리아인베스트먼트, P10의 주요 지표를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각 기업의 업계 내 위치, 시장 포지션, 상대적 실적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기업 |
종합의견 |
매출 성장률 |
매출총이익 |
자기자본이익률 |
---|
버투스인베스트먼트 |
비중축소 |
5.19% |
1억1770만 달러 |
2.02% |
위즈덤트리 |
매수 |
24.86% |
5610만 달러 |
4.53% |
파트리아인베스트먼트 |
매수 |
-2.85% |
4540만 달러 |
0.16% |
P10 |
중립 |
13.77% |
3482만 달러 |
1.95% |
주요 시사점:
버투스인베스트먼트는 매출 성장률과 매출총이익 면에서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자기자본이익률은 중간 수준을 보였다.
버투스인베스트먼트 기업 개요
버투스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는 개인과 기관을 대상으로 투자 관리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매 상품으로는 개방형 뮤추얼펀드, 폐쇄형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변액보험펀드 등이 있다. 지리적으로는 미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투자 관리 수수료, 판매 및 서비스 수수료, 관리 및 주주 서비스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재무 실적
시가총액 분석: 회사의 시가총액은 업계 평균을 하회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임을 시사한다. 이는 성장 잠재력이나 운영 규모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매출 성장: 버투스인베스트먼트는 3개월간 긍정적인 실적을 보였다.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회사는 약 5.19%의 견고한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회사의 매출 상위 라인이 크게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금융 섹터 내 동종업체들과 비교할 때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순이익률: 회사의 순이익률은 업계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7.89%의 순이익률로 효과적인 비용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ROE는 업계 표준에 미치지 못해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의 ROE로 주주들에게 만족스러운 수익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ROA는 업계 평균을 하회하여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0.49%의 ROA로 자산에서 최적의 수익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채 관리: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부채비율은 2.58로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한다. 이는 차입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시사하며, 재무 레버리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버투스인베스트먼트의 모든 실적 발표 일정을 확인하려면 당사 웹사이트의 실적 캘린더를 방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