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테크놀로지(나스닥: MU)에 대해 최근 3개월간 21개 증권사가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투자의견은 강력매수에서 중립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근 30일간의 투자의견과 이전 기간을 비교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력매수 | 매수 | 중립 | 매도 | 강력매도 | |
---|---|---|---|---|---|
전체 의견 | 7 | 11 | 3 | 0 | 0 |
최근 30일 | 0 | 1 | 0 | 0 | 0 |
1개월 전 | 0 | 0 | 0 | 0 | 0 |
2개월 전 | 0 | 0 | 1 | 0 | 0 |
3개월 전 | 7 | 10 | 2 | 0 | 0 |
증권사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는 평균 134.86달러로, 최고 250달러에서 최저 91달러까지 분포했다. 현재 평균 목표가는 이전 151.05달러에서 10.72% 하향 조정됐다.
최근 마이크론테크놀로지에 대한 증권사들의 평가를 자세히 살펴보면, 투자의견과 목표가 조정 내역은 다음과 같다.
애널리스트 | 증권사 | 투자의견 변경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애런 레이커스 | 웰스파고 | 하향 | 비중확대 | 130.00 | 140.00 |
조셉 무어 | 모건스탠리 | 하향 | 중립 | 91.00 | 98.00 |
톰 오말리 | 바클레이즈 | 하향 | 비중확대 | 110.00 | 145.00 |
하쉬 쿠마르 | 파이퍼 샌들러 | 하향 | 비중확대 | 120.00 | 150.00 |
조셉 무어 | 모건스탠리 | 하향 | 중립 | 98.00 | 114.00 |
크리쉬 산카르 | TD 코웬 | 하향 | 매수 | 125.00 | 135.00 |
할란 서 | JP모건 | 하향 | 비중확대 | 145.00 | 180.00 |
매튜 프리스코 | 캔터 피츠제럴드 | 하향 | 비중확대 | 130.00 | 150.00 |
브라이언 친 | 스티펠 | 하향 | 매수 | 130.00 | 135.00 |
토시야 하리 | 골드만삭스 | 하향 | 매수 | 128.00 | 145.00 |
애런 레이커스 | 웰스파고 | 하향 | 비중확대 | 140.00 | 175.00 |
티모시 아르쿠리 | UBS | 하향 | 매수 | 125.00 | 135.00 |
비벡 아리아 | 뱅크오브아메리카 | 하향 | 중립 | 110.00 | 125.00 |
비제이 라케시 | 미즈호 | 하향 | 비중확대 | 115.00 | 135.00 |
매트 브라이슨 | 웨드부시 | 하향 | 비중확대 | 125.00 | 140.00 |
한스 모제스만 | 로젠블랫 | 유지 | 매수 | 250.00 | 250.00 |
트리스탄 게라 | 베어드 | 하향 | 비중확대 | 130.00 | 150.00 |
퀸 볼튼 | 니덤 | 하향 | 매수 | 120.00 | 140.00 |
마크 리 | 번스타인 | 하향 | 비중확대 | 120.00 | 140.00 |
한스 모제스만 | 로젠블랫 | 유지 | 매수 | 250.00 | 250.00 |
매트 브라이슨 | 웨드부시 | 유지 | 비중확대 | 140.00 | 140.00 |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중 하나로, 메모리와 스토리지 칩을 전문으로 생산한다. 주력 제품은 DRAM이며, NAND 플래시 칩도 생산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모바일 기기, 소비자 전자제품, 산업용 및 자동차용 반도체를 글로벌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수직 계열화된 생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시가총액: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으로, 성장 기대치나 사업 규모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매출 성장: 2024년 11월 30일 기준 3개월간 매출 성장률은 84.28%를 기록했다. 이는 정보기술 섹터 내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이다.
순이익률: 21.47%의 순이익률을 기록했으나, 이는 업계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자기자본이익률(ROE): 4.07%로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2.65%로 업계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부채관리: 부채비율 0.31로 업계 평균 이하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