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박준석] 퇴직연금_중국 ETF 특강](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31f031c836658a449bab213069287fb36d.jpg)
최근 3개월간 14명의 애널리스트들이 애플로빈(NASDAQ:APP)에 대한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의 의견은 강력 매수에서 중립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최근 30일간의 투자의견 변화와 이전 달의 추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력매수 | 매수 | 중립 | 매도 | 강력매도 | |
---|---|---|---|---|---|
총 의견 | 8 | 3 | 3 | 0 | 0 |
최근 30일 | 0 | 0 | 0 | 0 | 0 |
1개월 전 | 2 | 0 | 0 | 0 | 0 |
2개월 전 | 4 | 2 | 2 | 0 | 0 |
3개월 전 | 2 | 1 | 1 | 0 | 0 |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는 평균 490.07달러로, 최고 650달러에서 최저 325달러까지 분포했다. 현재 평균 목표가는 이전 평균인 369.23달러 대비 32.73% 상승했다.
최근 증권사들의 애플로빈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애널리스트 | 증권사 | 투자의견 변경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롭 샌더슨 | 루프캐피탈 | 상향 | 매수 | 650.00 | 450.00 |
제이슨 바지넷 | 시티그룹 | 상향 | 매수 | 600.00 | 460.00 |
마틴 양 | 오펜하이머 | 상향 | 아웃퍼폼 | 560.00 | 480.00 |
마이크 히키 | 벤치마크 | 상향 | 매수 | 525.00 | 375.00 |
코리 카펜터 | JP모건 | 상향 | 중립 | 475.00 | 325.00 |
제임스 캘러한 | 파이퍼 샌들러 | 상향 | 오버웨이트 | 575.00 | 400.00 |
존 호두릭 | UBS | 상향 | 매수 | 630.00 | 440.00 |
오마르 데수키 | 뱅크오브아메리카 | 상향 | 매수 | 580.00 | 375.00 |
에릭 셰리단 | 골드만삭스 | 상향 | 중립 | 335.00 | 220.00 |
존 호두릭 | UBS | 상향 | 매수 | 440.00 | 315.00 |
알렉 브론돌로 | 웰스파고 | 상향 | 오버웨이트 | 366.00 | 360.00 |
마이크 히키 | 벤치마크 | 신규 | 매수 | 375.00 | - |
코리 카펜터 | JP모건 | 상향 | 중립 | 325.00 | 200.00 |
제임스 히니 | 제프리스 | 상향 | 매수 | 425.00 | 400.00 |
이러한 분석은 다른 재무지표와 함께 고려할 때 애플로빈의 시장 위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애플로빈은 수직 통합된 광고 기술 기업으로, 광고주를 위한 수요측 플랫폼(DSP), 퍼블리셔를 위한 공급측 플랫폼(SSP), 그리고 이들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소 역할을 수행한다. 매출의 약 80%는 DSP인 앱디스커버리에서 발생하며, 나머지는 SSP인 맥스와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는 게임 스튜디오에서 발생한다. 2025년 2월 애플로빈은 수익성이 낮은 게임 스튜디오 사업을 매각하고 광고 기술 플랫폼에 전념하기로 발표했다. 향후 성장의 핵심 도구는 DSP 내에서 작동하는 광고 최적화 도구인 액손 2로, 광고주가 지정된 수익률 기준에 따라 광고를 집행할 수 있게 한다.
시가총액: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시가총액은 시장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보여준다.
매출 성장: 2024년 12월 31일 기준 3개월간 매출 성장률은 44.01%를 기록했다. 이는 정보기술 섹터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순이익률: 43.61%의 순이익률로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하며 뛰어난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59.04%의 ROE는 자기자본의 효율적 활용을 입증한다.
총자산이익률(ROA): 10.58%의 ROA로 자산 활용도가 우수함을 보여준다.
부채 관리: 부채비율 3.26배로 업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며, 이는 재무 레버리지가 높음을 시사한다.
투자의견은 각 증권사의 전문가들이 분기별로 특정 종목이나 섹터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애널리스트들은 기업 컨퍼런스콜, 재무제표, 주요 관계자와의 대화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판단을 내린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성장률, 실적, 매출 등에 대한 전망도 제시한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전문가 의견이 인간의 판단에 기반하므로 오류 가능성이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