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대(NYU) 경영학과 스콧 갤로웨이 교수가 부유층 은퇴자들의 사회보장연금 수급 제한을 주장해 '자산조사' 도입을 둘러싼 수십년된 논쟁이 재점화됐다. 갤로웨이 교수는 이를 '역사상 가장 부유한 세대에게 젊은 세대가 1.2조 달러를 이전하는 제도'라고 비판했다.
갤로웨이 교수는 자신의 '프로프 G' 팟캐스트에서 상위 10~30%의 부유한 노년층은 연금 수급 자격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근로자들이 연금을 부담하고 있다'며, 사회보장제도를 '상향식 부의 이전'으로 규정했다. MSNBC의 라이언 티그 베크위스에 따르면, '자산조사' 도입 논의는 2034년으로 예상되는 기금 고갈 시점이 다가올 때마다 재부상하고 있다.
사회보장제도의 행정비용은 1989년 이후 전체 지출의 1% 미만을 유지해왔으며, 작년에는 0.5%에 불과했다. 이는 모든 근로자와 은퇴자를 동일하게 대우하기 때문이다. 소득 심사를 추가하면 새로운 서류작업과 감사, 이의제기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퓨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인의 79%가 급여 삭감에 반대하는 등 이 제도의 높은 지지율은 보편성에서 비롯된다.
예산정책센터(CBPP)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노년층은 이미 소득 상한선을 피하기 위해 근로를 줄이고 있으며, 자산조사 확대는 이러한 왜곡을 심화시킬 수 있다. 전문가들은 근로자-수급자 간 대칭성이 훼손되면 90년간 이 제도를 지켜온 '정치적 논리'가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사회보장제도의 보편적이고 기여에 기반한 특성은 정치적 공격으로부터 보호막 역할을 한다. 2017년 전국위원회가 의뢰한 여론조사에서 79%의 유권자들(민주당, 공화당, 무소속 포함)이 부유층에게도 동일한 비율로 기여금을 부과하면서 급여를 인상하는 방안을 지지했다. 이는 정치적으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