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 메인
  • NEWS
이번주 방송스케쥴

미국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애국절 맞이...다우지수도 최고치 근접

Gianni di Poce 2025-07-06 22:40:42
미국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애국절 맞이...다우지수도 최고치 근접

시장 개요

지난주 증시는 강세장을 이어갔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30%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각각 1.72%, 1.62% 상승했다. 시장에서 과도한 낙관론이 감지되고 있어 급등 후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조정시에는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하며, 특히 암호화폐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정적자 해소를 위해 경기부양책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관심종목


라이프360(LIF) - 수익률 31% 예상


주요 내용


  • 라이프360은 가족 안전 및 위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기업이다.
  • 최근 분기 실적이 다소 부진했으나, 매출 1억360만 달러, 순이익 537만 달러를 기록했다.
  • PER 501.69배, PSR 12.46배, EV/EBITDA 427.88배로 밸류에이션이 매우 높은 수준이다.
  • 기술적으로는 강세 플래그 패턴을 형성 중이며,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

시장 영향


  • '타일' 트래커 통합과 가족 금융 도구, 노인 돌봄, 자동차 보험 등 신규 서비스 출시로 플랫폼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 2024년 미국 외 지역 월간활성사용자(MAU)가 전년 대비 46% 증가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 2024년 광고 및 파트너십 매출이 41% 증가한 3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 2025년 1분기 MAU는 837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 2025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1억360만 달러를 기록했다.
  • 2024년 구독 매출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2억7780만 달러를 기록했다.

투자 전략 (수익률 31% 예상)


  • 55-56달러 이상에서 매수 추천. 목표가 85-87달러.

UP파인테크(TIGR) - 수익률 54% 예상


주요 내용


  • UP파인테크는 혁신적인 온라인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술 기업이다.
  • 최근 매출은 1억2127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수익성은 아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 PER 21.44배, PSR 3.86배, EV/EBITDA 7.46배로 적정 수준의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 차트상 삼각형 패턴을 형성 중이며, 저항선 돌파시 큰 폭의 상승이 예상된다.

시장 영향


  • 2025년 2분기 신규 계좌는 60,900개로 전년 대비 111.2% 증가했다.
  • 2분기 기관 및 개인 고객의 순자산 유입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 83.8%의 높은 매출총이익률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
  • 2025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5.3% 증가한 1억2260만 달러를 기록했다.
  • 2025년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146.7% 증가했다.

투자 전략 (수익률 54% 예상)


  • 8.25-8.50달러 이상에서 매수 추천. 목표가 14.50-15.00달러.


주요 시장 이슈


고용 동향

최근 ADP 고용보고서와 노동부 고용보고서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ADP는 노동시장 약화를 시사한 반면, 노동부는 견조한 고용시장을 보여줬다. 기업들의 인력 감축과 구직난이 증가하는 추세다. 7월 금리인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9월 인하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시장 변동성 요인

이번 주 FOMC 의사록 공개를 앞두고 있으며, 7월 9일 관세 데드라인도 주목해야 한다. 일본과 EU와의 무역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다. 관세는 세금의 성격을 가지며 인플레이션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투자 결정시 고려해야 한다.



업종별 동향

시장은 여전히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다. 필수소비재(XLP)와 유틸리티(XLU)는 중간 수준의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종이나 헬스케어(XLV)가 상위권으로 올라서면 시장 조정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산업재와 기술주 비교

연초 이후 산업재(XLI)가 강세를 보였으나, 4월 이후에는 기술주(XLK)가 주도하고 있다. XLI/XLK 비율이 4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기술주 주도의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일드 채권 동향

하이일드 채권(HYG)이 3-7년 국채(IEI)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다. 4월 초 신용스프레드가 확대됐으나, 향후 6개월간 유사한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은 낮다. 하이일드 채권의 강세는 시장의 위험선호 심리를 반영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