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크라운홀딩스, 실적 호조에 연간 가이던스 상향

2025-07-23 09:01:49
크라운홀딩스, 실적 호조에 연간 가이던스 상향

크라운홀딩스(CCK)가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크라운홀딩스의 이번 실적발표에서는 견고한 재무건전성이 확인됐다. 매출 증가와 북미·유럽 음료 부문의 호조에 힘입어 실적이 크게 개선됐고, 사상 최대 규모의 잉여현금흐름을 기록했다. 다만 관세 영향과 구조조정 비용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실적 크게 개선


크라운홀딩스의 주당순이익은 전년 동기 1.45달러에서 1.81달러로 증가했다. 조정 주당순이익도 전년 동기 1.81달러에서 2.15달러로 크게 상승해 견실한 재무성과를 보여줬다.



매출 증가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다. 북미 음료 출하량이 1%, 유럽 음료 매출이 7%, 북미 식품캔 물량이 5% 각각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사상 최대 잉여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은 전년 178백만 달러에서 387백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수익 증가와 자본지출 감소에 기인한다.



부문별 이익 증가


부문별 이익은 전년 437백만 달러에서 476백만 달러로 증가했다. 전 세계 생산시설의 물량 증가와 운영 개선이 이익 증가를 견인했다.



가이던스 상향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 가이던스를 7.10~7.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3분기 조정 EBITDA는 주당 1.95~2.05달러를 전망했다.



유럽 음료 부문 호조


유럽 음료 부문은 전년 7% 성장에 이어 이번 분기에도 물량이 6% 증가하며 분기 최대 이익을 달성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부진


동남아시아 시장 물량 감소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이익이 감소했다. 관세가 소비자 신뢰와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며 어려움을 겪었다.



관세 영향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나, 약 2,500만 달러 규모의 잠재적 리스크가 있어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조조정 비용


중국 공장 자산감액과 시그노드 퇴직금 등으로 약 4,000만 달러의 구조조정 비용이 발생했다.



향후 전망


2025년 2분기에는 재무지표의 큰 개선이 예상된다. 연말 기준 조정 잉여현금흐름은 약 9억 달러, 순부채비율은 약 2.5배를 전망하며 견고한 재무 전망을 제시했다.



종합하면 크라운홀딩스는 실적 호조와 사상 최대 잉여현금흐름을 기록하며 견실한 재무건전성을 보여줬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도전과제가 있지만, 가이던스 상향과 주요 부문의 호조세는 향후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하고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