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트럼프 관세정책, 부국보다 빈국에 더 높은 세율 적용...최대 40% 부과

2025-08-10 03:31:16
트럼프 관세정책, 부국보다 빈국에 더 높은 세율 적용...최대 40% 부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저소득 국가들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이들 국가가 미국 등 부유한 국가들로부터 받아온 특별 무역 혜택과는 상반되는 결과다.


주요 내용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는 부유한 국가들보다 가난한 국가들에 더 가혹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일본, EU 회원국 등 부유한 국가들이 10~15%의 관세율에 직면한 반면, 베트남, 방글라데시,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라크 등 개발도상국들은 20% 이상의 관세가 부과됐다.


더욱이 아시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인 미얀마와 라오스는 최대 40%의 관세율이 적용돼 대미 수출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


최근에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둘러싼 분쟁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대한 관세를 50%까지 인상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시아 소재 싱크탱크인 힌리히 재단의 무역정책 책임자 데보라 엘름스는 "개발도상국들이 매우 높은 관세에 직면하게 됐다. 특히 최빈국 대우에 있어 큰 변화"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 미국과 중요한 지정학적·경제적 유대관계가 있는 국가들은 이러한 고율 관세를 피했다. 이들 주요 석유·가스 생산국들은 표준 관세율인 10% 이상의 관세를 부과받지 않았다.


브뤼셀 소재 싱크탱크인 유럽국제정치경제센터의 무역 전문가 데이비드 헤니그는 "일부 국가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은 반면 다른 국가들은 면제된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시장 영향


이러한 관세 정책의 변화는 세계 최빈국들에 대한 전통적인 대우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들에게 미국 투자를 요구하면서, 일본, 한국, EU와 같은 투자 약속을 이행할 재정적 여력이 없는 개발도상국들이 불리한 입장에 처했다.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적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국제 무역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