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126bb8576d3d3c4456b79ff60c17fd393b.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인 앤드류 베일리 미주리주 법무장관이 연방수사국(FBI) 공동부국장으로 임명돼 보수 논객 댄 봉기노와 함께 FBI 수뇌부에서 이례적인 권력 분담 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더힐에 따르면 베일리는 월요일 봉기노와 함께 부국장직을 수행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봉기노는 최근 제프리 에프스타인 관련 문건 처리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으로 법무부 내 입지가 흔들린 상태다.
베일리는 성명을 통해 "FBI 공동부국장으로 일하게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본디 법무장관이 '미국을 다시 안전하게' 만들겠다는 사명에 동참할 기회를 준 것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2022년 에릭 슈미트의 후임으로 미주리주 법무장관에 임명된 베일리는 작년 정식 임기를 확보했다. 그의 워싱턴 행은 최근 수년간 트럼프의 일련의 기소와 법적 공방에서 전 대통령을 옹호해온 그의 충성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됐다.
한편 봉기노는 법무부가 지난달 에프스타인의 '고객 명단'은 존재하지 않으며 2019년 구치소 사망이 자살이었다고 재확인한 후 팸 본디 법무장관과 FBI 지도부와 마찰을 빚었다.
이 조사 결과는 트럼프 지지층의 분노를 촉발했고, 민주당 고위 인사들이 보호받고 있다는 음모론에 불을 지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봉기노는 이 여파로 잠시 출근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프스타인 파일을 둘러싼 논란은 7월 일론 머스크와 앨런 더쇼비츠가 새로운 주장을 제기하며 더욱 격화됐다.
머스크는 트럼프의 이름이 포함됐다고 주장하며 편집되지 않은 파일 공개를 재차 요구했다. 그는 비밀 유지가 트럼프의 관련성을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머스크가 '채무 노예 상태'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한 트럼프 감세법안에 대한 하원 표결 직전에 나왔다.
같은 시기 더쇼비츠는 파일에 포함된 이름들과 그것이 은폐된 이유를 알고 있지만, 판사의 기밀유지 명령으로 공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초 에프스타인 관련 문건 공개를 약속했으나, 백악관은 계속해서 '고객 명단' 존재를 부인했고, 이는 회의적인 시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