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채가 재정적자와 금리 불확실성으로 흔들리는 가운데, 신흥국 채권이 조용히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신흥국 채권은 높은 실질금리, 통화 안정성, 인플레이션 여력 등을 제공하고 있다. 변동성이 높을 때 반사적으로 미국 국채로 도피하던 투자자들이 이제 재고하고 있다. 아이쉐어즈 20년 이상 미국 국채 ETF(NASDAQ:TLT)는 지난 1년간 8% 이상 하락했으며, 연초 이후에도 여전히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반면 신흥국 채권 ETF들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쉐어즈 JP모건 신흥국 로컬통화 채권 ETF(NYSE:LEMB)는 연초 이후 10% 가까이 상승했으며, 반에크 JP모건 신흥국 로컬통화 채권 ETF(NYSE:EMLC)와 SPDR 블룸버그 신흥국 로컬 채권 ETF(NYSE:EBND)는 7%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상승세가 신흥국의 인플레이션이 가열되지 않고 오히려 완화되는 상황에서 나타났다는 것이다.
실질금리 우위 재현 브라질의 10년 국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