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마지막 날인 목요일, 조 바이든의 도로 교통 전기화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트럼프는 피서브 포럼에 모인 청중들에게 "당선 첫날 전기차 의무화를 종료하겠다. 이를 통해 자동차 산업을 완전한 파괴로부터 구하고 미국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 비용을 수천 달러씩 절감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가 언급한 의무화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 중인 2032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대부분을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로 전환하는 정책을 가리킨다.
노조 수장 사퇴 요구
트럼프는 또한 숀 페인 전미자동차노조(UAW)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페인이 외국 전기차 업체들의 멕시코 공장 설립을 허용해 관세 없이 미국에서 전기차를 판매할 수 있게 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의 이 발언은 중국 전기차 업체 BYD의 멕시코 공장 설립 계획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자동차 업체들은 이를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되는 관세를 피하면서 저가 전기차를 미국 시장에 밀어넣으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BYD는 미국 시장 진출 계획이 없다고 거듭 밝힌 바 있다.
트럼프는 "전미자동차노조는 이를 허용한 것에 대해 부끄러워해야 하며, UAW 수장은 즉각 해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자동차 노동자들은 노조원이든 아니든 도널드 트럼프에게 투표해야 한다. 우리는 자동차 제조업을 빠르게 되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UAW는 지난 1월 다가오는 11월 대선에서 조 바이든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외국 기업에 관세 부과
트럼프는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차량을 판매하려면 미국 내 공장을 세우고 미국 노동자들을 고용해 생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만약 그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각 차량에 약 100%에서 2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그렇게 되면 미국에서 팔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외국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을 강제하면 엄청난 수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미 중국산 전기차에 10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전기차도 찬성"
트럼프는 "나는 전기차에 찬성한다. 전기차는 용도가 있지만, 누군가 가솔린 차나 하이브리드차를 사고 싶다면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당선 첫날 이를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비판했다.
트럼프는 "AI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의 두 배나 필요하지만, 대신 우리는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데 돈을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를 인용해 정부가 전국에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는 데 75억 달러를 투자했지만 3월 기준으로 단 7개만 운영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이전에 트럼프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으며, 바이든의 나이를 비판하기도 했다. 머스크는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에서 열린 트럼프의 선거 유세장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 이후 토요일부터 공개적으로 트럼프의 대선 재출마를 지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