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보타(Ibotta, NYSE:IBTA)에 대한 10개 증권사의 최근 분기 평가는 강세에서 약세까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표는 최근 30일간의 평가와 이전 몇 개월간의 평가를 비교한 것이다.
| 매우 강세 | 다소 강세 | 중립 | 다소 약세 | 매우 약세 |
---|
총 평가 | 5 | 4 | 1 | 0 | 0 |
최근 30일 | 3 | 2 | 1 | 0 | 0 |
1개월 전 | 0 | 0 | 0 | 0 | 0 |
2개월 전 | 0 | 1 | 0 | 0 | 0 |
3개월 전 | 2 | 1 | 0 | 0 | 0 |
증권사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는 평균 108달러, 최고 130달러, 최저 85달러다. 현재 평균 목표주가는 이전 평균 목표주가 121.2달러보다 10.89% 하락했다.

증권사별 상세 평가
최근 증권사들의 아이보타에 대한 평가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애널리스트 | 증권사 | 투자의견 변화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에릭 셰리단 (Eric Sheridan) | 골드만삭스 | 하향 | 중립 | 87.00달러 | 103.00달러 |
로널드 조시 (Ronald Josey) | 시티그룹 | 하향 | 매수 | 95.00달러 | 125.00달러 |
켄 가브렐스키 (Ken Gawrelski) | 웰스파고 | 하향 | 비중확대 | 85.00달러 | 105.00달러 |
마크 마하니 (Mark Mahaney) | 에버코어ISI | 하향 | 아웃퍼폼 | 114.00달러 | 125.00달러 |
커티스 나겔 (Curtis Nagle) |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 | 하향 | 매수 | 110.00달러 | 118.00달러 |
버니 맥터난 (Bernie McTernan) | 니드햄 | 하향 | 매수 | 100.00달러 | 125.00달러 |
켄 가브렐스키 (Ken Gawrelski) | 웰스파고 | 하향 | 비중확대 | 105.00달러 | 131.00달러 |
크리스 쿤타리치 (Chris Kuntarich) | UBS | 상향 | 매수 | 129.00달러 | 125.00달러 |
앤드류 분 (Andrew Boone) | JMP증권 | 유지 | 시장수익률 상회 | 130.00달러 | 130.00달러 |
버니 맥터난 (Bernie McTernan) | 니드햄 | 유지 | 매수 | 125.00달러 | 125.00달러 |
주요 시사점
투자의견 변화: 시장 상황과 기업 실적에 따라 애널리스트들은 투자의견을 조정한다. '유지', '상향', '하향' 등의 변화는 아이보타에 대한 최근 시각을 반영한다.
투자의견: '아웃퍼폼'부터 '언더퍼폼'까지 다양한 정성적 평가는 아이보타의 상대적 성과에 대한 기대치를 나타낸다.
목표주가: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하는 아이보타 주식의 미래 가치 예상치로, 시간에 따른 기대치 변화를 보여준다.
아이보타의 시장 성과를 판단할 때 이러한 애널리스트 평가와 함께 주요 재무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아이보타 기업 개요
아이보타(Ibotta Inc)는 성과 기반 마케팅 플랫폼이다. 소비재 브랜드들이 아이보타 성과 네트워크(IPN)라는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디지털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아이보타의 재무 실적
시가총액 분석: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시가총액은 성장 기대나 사업 규모 등의 요인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매출 성장: 아이보타는 2024년 3월 31일 기준으로 지난 3개월간 42.7%의 인상적인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통신서비스 섹터 내 다른 기업들의 평균을 웃도는 수치다.
순이익률: 아이보타의 순이익률은 11.29%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뛰어난 비용 관리와 수익성을 보여준다.
자기자본이익률(ROE): 25.82%의 ROE는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돌며, 효율적인 자기자본 운용을 나타낸다.
총자산이익률(ROA): 2.9%의 ROA 역시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효율적인 자산 관리와 재무 건전성을 보여준다.
부채 관리: 부채비율은 1.48로 업계 평균보다 높아 잠재적 재무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
애널리스트 평가의 의미
금융 전문가인 애널리스트들은 특정 주식이나 섹터에 대해 전문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기업 컨퍼런스 콜 참석, 재무제표 분석, 내부자와의 소통 등을 통해 주식 평가를 내린다. 대개 분기마다 한 번씩 평가를 업데이트한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성장률, 실적, 매출 등의 지표에 대한 예측도 함께 제시한다. 애널리스트 평가를 활용할 때는 이들도 주관적 판단을 내리는 인간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