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 부통령 후보인 JD 밴스(오하이오) 상원의원이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될 경우 연방 낙태금지법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밴스 의원은 이날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연방 낙태금지법을 거부할 것 같다"며 "그가 이를 명시적으로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는 이 주제에 대한 문화전쟁을 끝내길 원한다"며 낙태 문제에 대한 트럼프의 실제 발언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가 지난 4월 전국적인 낙태 금지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과 맥을 같이한다. 당시 트럼프는 로 대 웨이드 판결 파기를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평가하며 각 주가 자체적으로 낙태법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트럼프의 주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트럼프가 대통령직에 복귀하면 전국 낙태금지법에 서명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논쟁은 민주당이 트럼프를 보수 싱크탱크의 포괄적인 '통치 의제'인 '프로젝트 2025'와 연결 짓고자 하는 상황에서 불거졌다. 이 프로젝트는 낙태약인 미페프리스톤에 대한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철회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트럼프는 최소 140명의 전 행정부 인사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2025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부인했다.
낙태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공화당 내부 분열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가 전국적인 제한을 지지하지 않는다면, 이는 연방 차원의 조치를 옹호하는 반낙태 운동의 유력 인사들과 정면으로 대립하게 될 것이다. 트럼프 본인도 공화당의 낙태 입장이 선거 성과에 해를 끼쳤다고 인정하며 "그들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할지 이해하지 못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자선사업가 멀린다 프렌치 게이츠는 이 문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여성의 재생산권을 후퇴시키는 후보에게는 투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벤징가 뉴로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벤징가 편집자들의 검토와 발행을 거쳤습니다.
이미지 출처: 셔터스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