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이번주 방송스케쥴

    오리건주, 마약 재불법화…찬반 논란 속 공공보건 격차 확대 우려

    Patricio Liddle 2024-09-04 05:19:38
    오리건주, 마약 재불법화…찬반 논란 속 공공보건 격차 확대 우려
    오리건주가 9월 1일 하원법안 4002호에 따라 마약 소지에 대한 형사 처벌을 공식적으로 재도입했다. 이는 약 4년간 지속된 마약 비범죄화 실험을 종료하는 조치다. 아이러니하게도 세계 약물 과다복용 인식의 날 바로 다음 날 시행된 이번 조치에 대해 옹호단체들은 날선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이들은 새 법이 해결하려던 문제를 오히려 악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투표법안 110 폐지: 공공보건에서 처벌로의 전환

    티나 코텍(Tina Kotek) 주지사(민주당)가 4월 1일 서명한 하원법안 4002호는 펜타닐과 메스암페타민 같은 마약 소량 소지에 대해 경범죄 혐의를 다시 도입했다. 이는 2020년 오리건 유권자들이 통과시킨 투표법안 110의 핵심 조항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조치다. 투표법안 110은 문제성 약물 사용을 공공보건 문제로 다루고자 했으며, 개인을 감옥이 아닌 치료로 인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 법안의 시행에 대한 비판과 과다복용 사망을 줄이는 데 실패했다는 인식으로 인해 입법자들은 더 처벌적인 접근법으로 선회하게 됐다.

    오리건주의 우회 프로그램과 불균형한 시행

    새 법은 또한 '우회 프로그램'을 도입해 개인을 교도소가 아닌 치료로 인도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선택적이며 주 전역에서 그 적용이 크게 다르다. 약물정책연맹(Drug Policy Alliance, DPA)에 따르면 오리건주의 36개 카운티 중 28개만이 이러한 프로그램 시행을 위한 주 정부 자금을 요청했으며, 대부분은 아직 운영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한 접근 방식은 많은 이들이 의미 있는 치료를 받지 못하고 대신 형사 사법 시스템을 오가게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옹호단체들, 실패한 정책의 부활 비난

    옹호단체들은 하원법안 4002호가 유색인종 커뮤니티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실패한 마약 정책을 부활시키는 퇴보라고 주장한다. DPA의 정책 담당 매니징 디렉터인 린지 라살(Lindsay LaSalle)은 "하원법안 4002호가 수십 년간 우리를 실망시켜온 동일한 마약전쟁 전략에서 나온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사람들을 교도소에 들락날락하게 만들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쓰일 수 있는 자원을 법 집행에 더 많이 쓰며, 특히 유색인종들에게 주거, 고용, 복지, 교육에 평생 장벽으로 작용할 전과 기록을 안겨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판론자들은 또한 주의 공선변호인 부족 문제가 지속되고 있어 많은 마약 소지 사건이 어떤 지원 서비스와도 연결되지 않은 채 기각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오리건주의 치료 인프라, 수요에 못 미쳐

    형사 처벌이 재도입됐음에도 오리건주의 치료 인프라는 여전히 미흡한 상태다. 주거형 치료와 금단 관리 같은 서비스에 상당한 격차가 있다. 예를 들어, 멀트노마 카운티에 우회 센터가 계획됐지만 그 개설이 지연되고 있다고 OPB가 상세히 보도했다.

    마찬가지로 오리건주의 대부분 카운티가 법 시행일까지 종합적인 우회 프로그램을 시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거나 그럴 의지가 없다. 한편 경찰은 우회팀이 개입할 때까지 마약 사용자를 체포하고 구금할 수 있게 됐다.

    과다복용으로 잃은 이들을 기리는 날 직후, 오리건주의 마약 소지 재범죄화 결정은 많은 이들이 종료되기를 바랐던 논란의 시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옹호단체들은 계속해서 공공보건 해법에 대한 투자를 촉구하며, 생명을 구하는 열쇠는 처벌이 아닌 지원 서비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