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역에서 대마 소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연방 자문단이 정부의 대마정책 접근 방식에 대대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과거의 '마약 안돼요(Just Say No)' 캠페인에서 벗어나, 국립과학공학의학원(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이 목요일 발표한 보고서는 공중보건 중심의 접근법을 주장하며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이전보다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마정책, 보건 중심으로 전환
보고서 작성위원회 위원장인 남캘리포니아대학의 스티븐 토이치 박사는 "연방정부가 이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CDC와 국립보건원(NIH)이 의뢰한 이번 보고서는 더 강력해진 대마 제품과 일일 사용률 증가로 인해 연방 차원의 더욱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CDC 대변인은 보고서의 권고사항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려면 추가 자금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마 효능 증가로 공중보건 우려 고조
보고서가 제기한 주요 우려사항 중 하나는 마리화나의 효능 증가다. 보고서 위원회 위원이자 랜드 마약정책연구센터 공동소장인 보 킬머는 "이제 상점에 가면 THC 함량이 20% 미만인 제품을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25년 전 약 5%였던 THC 함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과도한 대마 사용에 따른 위험에 대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자동차 사고와 심한 구토를 유발하고 응급 치료가 필요한 대마 과민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젊은 사용자들의 경우 신체 건강을 넘어선 위험이 존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10대의 정기적인 대마 사용은 학습을 방해하고 기분 및 불안 장애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임산부가 정기적으로 대마를 사용할 경우 태아에게도 합병증 위험이 있다.
대마 업계의 반발
보고서는 또한 대마 산업의 로비활동이 주 정책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주와 콜로라도주에서는 THC 농도 제한이나 재배 시 농약 사용 제한 노력이 저항에 부딪혔다.
그러나 전국대마산업협회의 아론 스미스 CEO는 규제 시장을 옹호하며 "주정부는 제품의 오염물질 검사, 정확한 라벨링, 미성년자의 대마 제품 구매 방지 등을 의무화함으로써 불법 시장을 규제 사업으로 대체해 공중보건을 보호했다"고 주장했다.
스미스는 대마를 전국적으로 합법화하면 더 포괄적인 연방 규제가 가능해져 궁극적으로 공중보건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의 주요 권고사항
자문단은 대마 관련 공중보건 조치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CDC: 부모, 10대, 임산부,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 캠페인을 개발하고 평가해야 한다. 또한 대마 재배, 판매, 사용 추세를 모니터링하고 주 규제에 대한 모범 사례를 수립해야 한다.
의회: 다른 대마 제품이 불법인 주에서 취하 효과가 있는 대마 유래 제품 판매를 허용하는 허점을 막아야 한다. 또한 국가마약통제정책실이 대마 합법화의 영향을 연구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한을 해제해야 한다.
주정부: 대마 소매점 직원의 교육 및 인증 의무화, 경미한 대마 관련 범죄 기록 삭제, 대마 제품에 대한 미국 약전(U.S. Pharmacopeia) 품질 기준 채택 등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