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유니언(TransUnion, NYSE:TRU)이 2024년 10월 23일 수요일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실적 발표 전에 알아야 할 주요 내용을 살펴보자.
증권가는 트랜스유니언의 주당순이익(EPS)이 1.00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은 트랜스유니언이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다음 분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기업의 향후 전망이 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과거 실적 개요
지난 분기 트랜스유니언은 EPS가 예상치를 0.02달러 상회했고, 이에 따라 다음 날 주가는 3.16% 상승했다.
트랜스유니언의 과거 실적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은 다음과 같다.
분기 |
2024년 2분기 |
2024년 1분기 |
2023년 4분기 |
2023년 3분기 |
---|
EPS 예상 |
0.97 |
0.80 |
0.71 |
0.94 |
EPS 실제 |
0.99 |
0.92 |
0.80 |
0.91 |
주가 변동률 |
3.0% |
0.0% |
5.0% |
-7.000000000000001% |

트랜스유니언 주가 동향
10월 21일 기준 트랜스유니언의 주가는 107.48달러였다. 최근 52주 동안 주가는 130.98% 상승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수익률을 고려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앞두고 만족할 만한 상황이다.
증권가의 트랜스유니언 전망
투자자들에게 시장 분위기와 업계 전망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분석에서는 트랜스유니언에 대한 최신 견해를 살펴본다.
14명의 애널리스트 평가를 종합한 트랜스유니언의 투자의견은 '아웃퍼폼'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05.43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1.91%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업계 경쟁사와의 투자의견 비교
부즈 앨런 해밀턴(Booz Allen Hamilton), 레이도스 홀딩스(Leidos Holdings), 제이콥스 솔루션스(Jacobs Solutions) 등 주요 업계 경쟁사들의 애널리스트 투자의견과 평균 1년 목표주가를 비교 분석해 상대적인 실적 전망과 시장 포지셔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부즈 앨런 해밀턴에 대한 현재 증권가의 투자의견은 '매수'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64.5달러로, 53.05%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레이도스 홀딩스에 대한 현재 증권가의 투자의견은 '매수'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72.18달러로, 60.2%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제이콥스 솔루션스에 대한 현재 증권가의 투자의견은 '아웃퍼폼'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58.17달러로, 47.16%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경쟁사 분석 요약
부즈 앨런 해밀턴, 레이도스 홀딩스, 제이콥스 솔루션스의 주요 지표를 요약한 경쟁사 분석은 이들 기업의 업계 내 위치와 상대적 실적, 시장 포지션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기업 |
투자의견 |
매출 성장률 |
매출총이익 |
자기자본이익률 |
---|
트랜스유니언 |
아웃퍼폼 |
7.52% |
6억3410만 달러 |
2.07% |
부즈 앨런 해밀턴 |
매수 |
10.82% |
15억7000만 달러 |
15.44% |
레이도스 홀딩스 |
매수 |
7.66% |
7억500만 달러 |
7.39% |
제이콥스 솔루션스 |
아웃퍼폼 |
1.07% |
9억1678만 달러 |
2.22% |
주요 시사점:
트랜스유니언은 경쟁사들 중 매출총이익과 자기자본이익률 부문에서 최상위를 기록했다. 매출 성장률은 중간 수준을 기록했다.
트랜스유니언 기업 개요
트랜스유니언은 미국의 3대 신용평가기관 중 하나로, 소비자 신용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또한 사기 탐지, 마케팅, 분석 서비스도 제공한다. 트랜스유니언은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약 4분의 1이 해외 시장에서 발생한다.
트랜스유니언의 재무 건전성 주요 지표
시가총액: 트랜스유니언은 높은 시가총액을 자랑하며 업계 평균을 상회한다. 이는 기업의 큰 규모와 강한 시장 인지도를 시사한다.
매출 성장률: 트랜스유니언은 2024년 6월 30일 기준 3개월 동안 7.52%의 인상적인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기업의 매출 상위 라인이 상당히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산업재 섹터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순이익률: 트랜스유니언의 순이익률은 8.17%로 업계 평균을 상회한다. 이는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강한 재무 건전성을 나타낸다.
자기자본이익률(ROE): 트랜스유니언의 ROE는 2.07%로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자기자본 수익률 극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총자산이익률(ROA): 트랜스유니언의 ROA는 0.77%로 업계 평균 이하다. 이는 자산 활용의 효율성에 잠재적인 과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부채 관리: 트랜스유니언의 부채비율은 1.29로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한다. 이는 차입 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재무 레버리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트랜스유니언의 모든 실적 발표 일정은 당사 웹사이트의 실적 발표 캘린더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