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티니(Centene, NYSE:CNC)가 오는 25일(금) 2024년 3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애널리스트들은 센티니의 주당순이익(EPS)이 1.42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센티니 투자자들은 회사가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하고 다음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주가가 과거 실적보다는 미래 전망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적 히스토리 스냅샷
지난 분기 센티니는 EPS가 예상보다 0.35달러 높았으나, 다음날 주가는 변동이 없었다.
다음은 센티니의 과거 실적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이다.
분기 |
2024년 2분기 |
2024년 1분기 |
2023년 4분기 |
2023년 3분기 |
---|
EPS 추정치 |
2.07 |
2.08 |
0.43 |
1.57 |
실제 EPS |
2.42 |
2.26 |
0.45 |
2 |
주가 변동률 |
8.0% |
-2.0% |
0.0% |
-1.0% |

센티니 주가 동향
10월 23일 기준 센티니 주가는 59.8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52주 동안 주가는 7.51% 하락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수익률을 고려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앞두고 다소 우려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가
투자자들에게 시장 분위기와 업계 기대치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음은 센티니에 대한 최신 인사이트를 분석한 내용이다.
애널리스트들은 센티니에 총 12개의 등급을 부여했으며, 종합 등급은 '아웃퍼폼'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90.67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51.57%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동종업계 평가 분석
이번 분석에서는 주요 경쟁사인 몰리나 헬스케어(Molina Healthcare), 헬스이퀴티(HealthEquity), 얼라인먼트 헬스케어(Alignment Healthcare)의 애널리스트 등급과 평균 1년 목표주가를 살펴보고 상대적인 실적 기대치와 시장 포지셔닝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가에 따르면 몰리나 헬스케어는 '아웃퍼폼' 전망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377.14달러로 530.46%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헬스이퀴티에 대한 종합 전망은 '아웃퍼폼'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02.14달러로 70.75%의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얼라인먼트 헬스케어에 대해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0.0달러로 83.28%의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경쟁사 비교 분석 요약
이 비교 분석은 몰리나 헬스케어, 헬스이퀴티, 얼라인먼트 헬스케어의 주요 지표를 상세히 살펴보며, 업계 내 각 기업의 위치와 시장 포지션, 상대적 실적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기업 |
종합 의견 |
매출 성장률 |
매출총이익 |
자기자본이익률 |
---|
센티니 |
아웃퍼폼 |
5.92% |
44억3000만 달러 |
4.22% |
몰리나 헬스케어 |
아웃퍼폼 |
18.65% |
12억1000만 달러 |
6.45% |
헬스이퀴티 |
아웃퍼폼 |
23.15% |
2억405만 달러 |
1.68% |
얼라인먼트 헬스케어 |
매수 |
47.34% |
7597만 달러 |
-18.86% |
주요 시사점:
센티니의 매출 성장률은 경쟁사들 중 중간 수준이다. 매출총이익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두 경쟁사보다 낮지만 한 곳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센티니 기업 소개
센티니는 메디케이드, 메디케어, 개인 보험 거래소 등 정부 후원 의료보험 플랜에 중점을 둔 관리형 의료보험 기업이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2400만 명의 의료보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이 메디케이드(67%), 개인 보험 거래소(14%), 메디케어 어드밴티지(6%) 플랜 가입자다. 또한 전통적인 메디케어 이용자들을 위한 메디케어 파트 D 의약품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센티니의 경제적 영향 분석
시가총액 분석: 센티니의 시가총액은 업계 평균을 밑돌고 있다. 이는 성장 전망이나 운영 능력 등의 요인 때문일 수 있다.
매출 성장: 센티니는 3개월 동안 주목할 만한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약 5.92%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는 회사의 매출 상위 라인이 상당히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헬스케어 섹터의 동종 기업들과 비교하면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순이익률: 센티니의 순이익률은 업계 기준에 미치지 못하며, 이는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2.88%의 순이익률로 비용 통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센티니의 ROE는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4.22%의 ROE는 자기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재무 성과가 양호함을 보여준다.
총자산이익률(ROA): 센티니의 ROA 역시 업계 평균을 웃도는 수준이다. 1.38%의 ROA는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재무 성과가 양호함을 나타낸다.
부채 관리: 센티니의 부채비율은 0.64로 업계 기준을 상회한다. 이는 회사가 상당한 규모의 부채를 안고 있어 잠재적인 재무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센티니의 모든 실적 발표 일정은 당사 웹사이트의 실적 캘린더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