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털사우스웨스트(NASDAQ:CSWC)가 2024년 10월 28일 월요일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실적 발표 전 주목해야 할 핵심 사항을 살펴보자.
증권가는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주당순이익(EPS)이 0.65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캐피털사우스웨스트 투자자들은 회사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고 다음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주가가 과거 실적보다는 향후 전망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과거 실적 개요
지난 분기 회사의 EPS는 예상보다 0.02달러 낮았으며, 이에 따라 다음 날 주가는 3.44% 상승했다.
다음은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과거 실적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이다:
분기 |
2025년 1분기 |
2024년 4분기 |
2024년 3분기 |
2024년 2분기 |
---|
EPS 예상 |
0.65 |
0.66 |
0.66 |
0.65 |
실제 EPS |
0.63 |
0.66 |
0.70 |
0.69 |
주가 변동률 |
3.0% |
-3.0% |
1.0% |
3.0% |

주가 실적
10월 24일 기준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주가는 25.59달러였다. 지난 52주 동안 주가는 21.39% 상승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수익률을 고려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낙관적으로 바라볼 것으로 보인다.
캐피털사우스웨스트에 대한 애널리스트 견해
투자자들에게 시장 분위기와 업계 기대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캐피털사우스웨스트에 대한 최신 분석이다.
1명의 애널리스트 평가를 바탕으로 한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종합 등급은 '중립'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4.0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6.21%의 하락 여지가 있다.
동종업계 기업들의 평가 분석
이번 분석에서는 주요 업계 기업인 버터스 인베스트먼트(Virtus Inv), 위즈덤트리(WisdomTree), 파트리아 인베스트먼츠(Patria Investments)의 애널리스트 평가와 평균 1년 목표주가를 살펴보고 이들의 상대적인 실적 기대치와 시장 포지셔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애널리스트들은 버터스 인베스트먼트에 대해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10.33달러로, 721.92%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위즈덤트리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종합 의견은 '매수'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3.5달러로, 47.25%의 하락 여지가 있다.
- 애널리스트들은 파트리아 인베스트먼츠에 대해 '매수' 의견을 제시했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4.0달러로, 45.29%의 하락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동종업계 기업 분석 요약
다음은 P10, 버터스 인베스트먼트, 위즈덤트리, 파트리아 인베스트먼츠의 주요 지표를 비교한 표로, 이를 통해 각 기업의 업계 내 입지와 상대적인 실적을 파악할 수 있다.
기업 |
종합 의견 |
매출 성장률 |
매출총이익 |
자기자본이익률 |
---|
P10 |
중립 |
13.77% |
3,482만 달러 |
1.95% |
버터스 인베스트먼트 |
비중 축소 |
5.19% |
1억1,770만 달러 |
2.02% |
위즈덤트리 |
매수 |
24.86% |
5,610만 달러 |
4.53% |
파트리아 인베스트먼츠 |
매수 |
-2.85% |
4,540만 달러 |
0.16% |
주요 결론:
캐피털사우스웨스트는 동종업계 기업들 중 매출 성장률에서 중위권을 기록했다. 매출총이익은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자기자본이익률은 최상위를 기록했다.
캐피털사우스웨스트 기업 소개
캐피털사우스웨스트는 미국 기반의 투자회사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중견기업들에게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특화돼 있다. 회사의 투자 목표는 채권 투자를 통한 현재 소득과 주식 및 주식 관련 투자를 통한 자본 이득을 창출하여 매력적인 위험조정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다. 기업 소유주, 경영진, 재무 스폰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유연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회사의 포트폴리오는 선순위채, 후순위채, 전환사채, 우선주, 보통주, 워런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사의 주요 수익원은 투자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배당수익, 그리고 운용수수료다.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재무 상황 심층 분석
시가총액 분석: 업계 기준치를 밑도는 회사의 시가총액은 동종업계 기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를 반영한다. 이는 성장 기대치나 운영 능력 등의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부정적인 매출 추세: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3개월 재무 실적을 살펴보면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회사의 매출 성장률은 약 21.37% 감소했다. 이는 매출 상위권 실적의 하락을 의미한다. 금융 부문의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캐피털사우스웨스트는 동종업계 평균을 밑도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순이익률: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순이익률은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해 높은 수익성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58.95%의 순이익률로 효과적인 비용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ROE는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해 자기자본 수익률 극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1.83%의 ROE로 최적의 재무 성과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ROA는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해 자산의 효율적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0.91%의 ROA로 자산에서 최적의 수익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채 관리: 0.95의 평균 이하 부채비율로 캐피털사우스웨스트는 신중한 재무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부채 관리에 대한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
캐피털사우스웨스트의 모든 실적 발표 내용을 확인하려면 벤징가 웹사이트의 실적 캘린더를 방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