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 최신뉴스
    이번주 방송스케쥴

    리퀴디아, 3분기 실적 발표 임박... 투자자들 `주목`

    Benzinga Insights 2024-11-13 00:02:39

    리퀴디아(나스닥:LQDA)가 오는 2024년 11월 13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이 실적 발표 전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살펴보자.


    증권가는 리퀴디아의 주당순이익(EPS)이 -0.38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리퀴디아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과 함께 다음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내놓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실적이 중요하지만 시장 반응은 주로 가이던스에 따라 좌우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실적 추이


    지난 실적 발표에서 리퀴디아는 EPS가 예상보다 0.03달러 낮았으나, 다음 거래일 주가는 6.55% 상승했다.


    다음은 리퀴디아의 과거 실적과 이에 따른 주가 변동을 보여주는 표다:


    분기2024년 2분기2024년 1분기2023년 4분기2023년 3분기
    EPS 예상-0.34-0.32-0.23-0.21
    EPS 실제-0.37-0.54-0.42-0.24
    주가 변동률7.0%-1.0%4.0%-4.0%


    eps graph



    주가 동향


    11월 11일 기준 리퀴디아의 주가는 10.73달러다. 최근 52주 동안 주가는 67.15% 상승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수익률을 감안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낙관적으로 바라볼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의견


    투자자들에게 시장 분위기와 업계 기대치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리퀴디아에 대한 최신 분석을 살펴보자.


    총 11명의 애널리스트가 리퀴디아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으며, 종합 의견은 '매수'다. 평균 목표주가는 26.27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144.83%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쟁사 대비 평가


    이번 분석에서는 주요 경쟁사인 이볼루스, 아이포인트 파마수티컬스, 파시라 바이오사이언스의 애널리스트 평가와 1년 목표주가를 살펴봄으로써 상대적인 실적 전망과 시장 포지셔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이볼루스는 애널리스트들로부터 '매수' 의견을 받았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4.6달러로 129.26%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아이포인트 파마수티컬스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종합 의견은 '매수'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5.57달러로 138.3%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파시라 바이오사이언스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종합 전망은 '매수'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7.75달러로 65.42%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쟁사 분석 요약


    이볼루스, 아이포인트 파마수티컬스, 파시라 바이오사이언스의 주요 지표를 요약한 표로, 업계 내 각 기업의 위치와 상대적 성과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업종합 의견매출 성장률매출총이익자기자본이익률
    리퀴디아매수-23.55%217만 달러-37.51%
    이볼루스매수22.12%4,286만 달러-152.12%
    아이포인트
    파마수티컬스
    매수4.09%808만 달러-12.89%
    파시라
    바이오사이언스
    매수2.83%1억 2,971만 달러-17.62%


    주요 결론:


    리퀴디아는 경쟁사 중 매출 성장률이 가장 낮다. 매출총이익 측면에서도 리퀴디아가 최하위를 기록했다. 자기자본이익률 역시 리퀴디아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리퀴디아 기업 소개


    리퀴디아는 미국 기반의 바이오제약 기업으로, 충족되지 않은 환자 요구를 해결하는 제품의 개발, 제조,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는 폐고혈압(PH)과 간질성 폐질환 관련 폐고혈압 치료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는 독자적인 PRINT 기술을 적용한 입자 공학 플랫폼을 통해 균일한 약물 입자의 정밀 생산을 가능케 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연구, 개발, 제조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인 YUTREPIA(treprostinil) 흡입 분말이 있다. 또한 자회사와 제조업체 간의 계약을 통해 Treprostinil 주사제 판매로도 수익을 올리고 있다.



    리퀴디아: 재무 현황 개요


    시가총액 분석: 동종 업계 기준치를 하회하는 시가총액은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를 반영한다. 이는 성장 기대치나 운영 역량 등의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매출 감소: 리퀴디아는 2024년 6월 30일 기준 3개월 동안 약 -23.55%의 매출 감소를 경험했다. 이는 회사의 매출 실적이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헬스케어 섹터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리퀴디아는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보이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순이익률: 리퀴디아의 순이익률은 업계 평균을 하회하며, 이는 높은 수익성 달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763.65%의 순이익률로 볼 때, 회사는 비용 관리에 있어 과제에 직면할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리퀴디아의 ROE는 업계 기준에 미치지 못하며, 이는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37.51%의 ROE로 볼 때, 회사는 주주들에게 만족스러운 수익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리퀴디아의 ROA는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하며, 이는 자산으로부터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14.92%의 ROA로 볼 때, 회사는 최적의 재무 성과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채 관리: 리퀴디아의 부채비율은 0.05로 업계 평균을 하회하며, 이는 부채 의존도가 낮고 보다 보수적인 재무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