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통화와 블록체인 기술이 변혁을 일으키는 가운데, 한 프로젝트가 그 단순함과 독창성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오픈 빌더스의 사샤 플로트비노프와 그의 팀이 구상한 '노트코인'은 단순한 클리커 게임으로 시작해 텔레그램에서 35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단기간에 끌어모으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텔레그램 기반의 인기 클리커 게임 '노트코인'의 창의적 개발자인 사샤와 그의 팀은 블록체인과 사용자 간 상호작용 방식을 새롭게 정의했다.
벤징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사샤는 노트코인을 활기찬 커뮤니티 중심의 게임 생태계로 발전시켜 엔터테인먼트와 블록체인 기술 간의 간극을 좁히려는 목표를 밝혔다.
주요 내용
노트코인이 7만 명에서 35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기까지의 여정에 대해 사샤는 흥미로운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목적지가 아닌 여정이 중요하다"는 말을 인용하며, 이 과정에서 팀이 크게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개발자로서 100만 명 규모의 앱을 다루다 갑자기 1000만 명, 그 이상의 사용자를 상대하게 된 변화를 강조했다.
사샤는 노트코인의 소셜 미디어를 직접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새로운 게임과 프로젝트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텔레그램을 통한 채굴 아이디어 등을 다른 프로젝트에도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영향
사샤는 '탭 투 언' 모델에 대해 설명하며, 이 모델이 사용자들에게 강력하게 어필하는 이유를 분석했다. 단순히 버튼이나 코인을 탭하는 행위를 통해 사용자들이 코인을 채굴하고, 이를 게임 내 부스트 구매 등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는 수백만 명의 사용자에게 코인을 분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마케팅 전략에 대해 사샤는 유료 트래픽 구매보다는 게임 내 메커니즘을 통해 사용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초대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1000만에서 5000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주가 동향
급격한 사용자 증가에 따른 기술적 문제 해결에 대해 사샤는 초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몇 달 만에 전문가 수준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주요 과제로는 데이터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그리고 텔레그램 API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텔레그램의 알림 발송 제한 등을 고려해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핵심 요약
노트코인의 성공 비결은 단순하면서도 혁신적인 게임 메커니즘과 블록체인 기술의 결합에 있다. 사샤 플로트비노프와 그의 팀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대중화하는 데 성공했으며, 지속적인 혁신과 커뮤니티 중심의 접근법으로 앞으로의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 노트코인의 사례는 게임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대규모 사용자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