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의 수입품에 25%, 중국산 제품에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규모 관세 정책을 제안했다. 투자자들에게 이는 2019년 무역전쟁의 재현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더 높은 위험과 불안정한 경제 상황이 맞물려 있다. JP모건의 크리스토퍼 호버스 애널리스트는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그는 이번 관세 압박이 첫 번째 관세 분쟁 때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미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들이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유통과 제조 부문은 가격 결정력에 있어 난관에 부딪힐 수 있다. 가장 큰 압박을 받는 분야와 이에 따른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자.
전자제품·완구·가구: 관세 위험지대 '메이드 인 차이나'는 단순한 문구가 아니다. 전자제품, 장난감, 가구 부문의 핵심이다. 호버스에 따르면 베스트바이(NYSE:BBY) 같은 소비자 전자제품 업체들은 최대 6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비슷하게 완구 대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