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오늘날 급변하는 경쟁 치열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들은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기업을 면밀히 평가해야 한다. 이 기사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나스닥:MSFT)를 소프트웨어 업계의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하는 종합적인 산업 분석을 실시한다. 주요 재무 지표, 시장 지위, 성장 잠재력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업계 내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에 대한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소비자 및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윈도우 운영 체제와 오피스 생산성 제품군으로 유명하다. 회사는 비슷한 규모의 3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산성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레거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클라우드 기반 오피스 365, 익스체인지, 셰어포인트, 스카이프, 링크드인, 다이나믹스), 인텔리전트 클라우드(IaaS 및 PaaS 제품인 애저, 윈도우 서버 OS, SQL 서버), 개인용 컴퓨팅(윈도우 클라이언트, 엑스박스, 빙 검색, 디스플레이 광고, 서피스 랩톱, 태블릿, 데스크톱).
기업 | P/E | P/B | P/S | ROE | EBITDA (단위: 10억 달러) | 매출총이익 (단위: 10억 달러) | 매출 성장률 |
---|---|---|---|---|---|---|---|
마이크로소프트 | 34.81 | 10.89 | 12.39 | 8.87% | 38.23 | 45.49 | 16.04% |
오라클 | 40.74 | 33.91 | 8.62 | 25.66% | 5.75 | 9.97 | 8.64% |
서비스나우 | 165.13 | 23.54 | 21.04 | 4.81% | 0.67 | 2.21 | 22.25% |
팔로알토 네트웍스 | 47.20 | 20.20 | 15.60 | 6.33% | 0.45 | 1.58 | 13.88% |
크라우드 스트라이크 | 670.90 | 27.56 | 22.87 | -0.57% | 0.05 | 0.76 | 28.52% |
포티넷 | 47.48 | 79.74 | 12.76 | 90.26% | 0.66 | 1.24 | 13.0% |
젠 디지털 | 27.66 | 8.04 | 4.48 | 7.92% | 0.51 | 0.78 | 3.07% |
먼데이닷컴 | 547.53 | 12.09 | 13.35 | -1.28% | -0.02 | 0.23 | 32.67% |
돌비 래버러토리스 | 29.03 | 3.01 | 5.97 | 2.39% | 0.07 | 0.27 | 4.9% |
컴볼트 시스템즈 | 38.30 | 23.75 | 7.59 | 5.56% | 0.02 | 0.19 | 16.06% |
QXO | 27.89 | 1.43 | 25.42 | -0.21% | -0.03 | 0.01 | -2.0% |
퀄리스 | 30.95 | 11.41 | 8.88 | 10.53% | 0.05 | 0.13 | 8.36% |
테라데이타 | 36.65 | 23.85 | 1.72 | 32.0% | 0.08 | 0.27 | 0.46% |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 35.03 | 6.57 | 4.04 | 6.88% | 0.06 | 0.15 | 2.11% |
솔라윈즈 | 64.77 | 1.78 | 3.11 | 0.94% | 0.07 | 0.18 | 5.5% |
평균 | 129.23 | 19.78 | 11.1 | 13.66% | 0.6 | 1.28 | 11.24% |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추세가 드러났다:
34.81의 주가수익비율(P/E)은 업계 평균보다 0.27배 낮아 유리한 성장 잠재력을 시사한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10.89로, 업계 평균보다 현저히 낮은 0.55배 수준이다. 이는 저평가 가능성과 미개발 성장 잠재력을 시사한다.
주가매출비율(P/S)은 12.39로, 업계 평균의 1.12배다. 이는 경쟁사 대비 매출 실적에 비해 주가가 다소 고평가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8.87%로 업계 평균보다 4.79% 낮다. 이는 자기자본을 이용한 수익 창출 효율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며, 다양한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382억3000만 달러의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업계 평균을 63.72배 상회해 강력한 수익성과 견고한 현금흐름 창출 능력을 보여준다.
454억9000만 달러의 매출총이익은 업계 평균을 35.54배 웃돈다. 이는 핵심 사업에서 강력한 수익성과 높은 이익을 나타낸다.
매출 성장률은 16.04%로, 업계 평균 11.24%를 상회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부채비율(D/E)은 기업의 자본 구조와 관련된 재무 위험 수준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무 지표다.
업계 비교 시 부채비율을 고려하면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위험 프로필을 간결하게 평가할 수 있어 정보에 입각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된다.
부채비율 측면에서 마이크로소프트를 상위 4개 경쟁사와 비교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관찰 결과를 얻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0.21의 낮은 부채비율을 보이며 상위 4개 경쟁사 대비 더 견고한 재무 상태를 보여준다.
이는 부채와 자기자본 간 더 유리한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지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P/E와 P/B 비율은 경쟁사 대비 주가가 저평가돼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높은 P/S 비율은 매출 기준으로 주가가 다소 고평가됐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ROE 측면에서는 경쟁사 대비 실적이 낮지만, 높은 EBITDA와 매출총이익률은 강력한 운영 효율성을 보여준다. 또한 높은 매출 성장률은 향후 시장 확대와 지배력 강화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