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중국 춘절 연휴 이후 금속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JP모건의 도미닉 오케인 애널리스트는 주목할 만한 시장 동향을 포착했다.
구리와 철광석 가격이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철강 생산량은 2021년 이후 최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기초금속 재고는 계절적으로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 중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의 수요가 살아난다면 타이트한 실물 시장이 강세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2주간 구리 가격은 톤당 9,500달러 수준으로 5% 상승했다. 그러나 중국 내수는 계절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JP모건은 중국의 구리 프리미엄이 20% 하락한 것이 이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오케인 애널리스트는 위안화 강세와 미국의 금속 관세 예상 등 글로벌 거시적 요인이 LME 구리 가격을 지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P모건은 재고가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2025년 4분기까지 구리 가격이 톤당 10,4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자들은 구리 모멘텀에 투자하기 위해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구리 인덱스 펀드(NYSE:CPER)와 글로벌 X 구리광산 ETF(NYSE:COPX)를 활용할 수 있다.
철광석 가격은 서호주 사이클론으로 인한 공급 차질로 1월 이후 10% 급등해 톤당 105달러를 기록했다. 중국의 철근 수요는 날씨 영향으로 주춤했으나, 철강 생산은 2021년 이후 최고 속도를 보이고 있다. JP모건은 3월 5일 개최되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발표될 정책 지원이 철강과 철광석 시장을 더욱 부양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철광석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은 밴엑 스틸 ETF(NYSE:SLX)와 아이셰어즈 MSCI 글로벌 금속·광산 생산자 ETF(NYSE:PICK)를 통해 광범위한 익스포저를 얻을 수 있다.
알루미늄과 아연 재고는 수년래 최저치를 기록하며 공급 부족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춘절 이후 수요는 여전히 부진하며, 지난주 알루미늄 재고는 11만톤 증가했다. JP모건은 2025년 알루미늄 가격을 톤당 2,763달러로 전망하면서도,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더 강한 수요 신호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알루미늄 강세에 베팅하려는 투자자들은 아이패스 시리즈 B 블룸버그 알루미늄 서브인덱스 토탈리턴 ETN(NYSE:JJU)을 통해 직접 투자할 수 있다.
중국 금속시장은 현재 타이트한 공급과 사상 최저 재고가 춘절 이후 부진한 수요와 맞물려 있는 상황이다.
JP모건의 오케인 애널리스트는 향후 중국의 정책 변화가 금속 가격의 다음 움직임을 결정할 핵심 촉매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리와 철광석 가격이 이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COPX, SLX, PICK 등의 ETF를 주시하며 다음 큰 움직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