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이번주 방송스케쥴

美 사이버작전 중단설에 주목받는 사이버보안 ETF 3선

2025-03-06 00:53:21
美 사이버작전 중단설에 주목받는 사이버보안 ETF 3선

더레코드(The Record)가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러시아를 대상으로 한 공격적 사이버 및 정보작전을 중단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하면서 사이버보안 ETF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펜타곤은 이 보도를 부인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사이버보안 투자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사이버 위협이 고조되면서 전 세계 기업들이 디지털 자산 보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사이버보안 기업과 이들을 편입한 ETF가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


개별 종목 분석 없이도 사이버보안 섹터에 분산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주목할 만한 사이버보안 ETF 3개를 소개한다:


  • 글로벌X 사이버보안 ETF (NASDAQ:BUG): 이 ETF는 22개 사이버보안 기업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팔로알토 네트웍스, 지스케일러, 포티넷, 크라우드스트라이크 등 주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 주로 미국 기업 중심이지만 이스라엘, 일본, 한국 기업들도 포함한다. 운용보수는 섹터 특화 ETF 수준인 0.5%다.
  • 퍼스트트러스트 나스닥 사이버보안 ETF (NASDAQ:CIBR): 나스닥 CTA 사이버보안 지수를 추종하며 사이버보안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포함한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가 주요 편입종목이며,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 포티넷, 팔로알토 등도 포함된다. 운용자산 규모는 80억 달러 이상이며 운용보수는 0.6%다.
  • ETFMG 프라임 사이버보안 ETF (NYSE:HACK): 사이버보안 분야 최초의 ETF로 투자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높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로알토 네트웍스, 시스코 등 기존 사이버보안 기업과 신흥 기업들에 투자한다.

HACK은 계층화된 동일가중 방식을 채택해 특정 기업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분산투자로 위험을 낮추면서도 사이버보안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확보할 수 있다. 운용보수는 0.6%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사이버보안의 중요성 증가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인프라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기업, 정부, 개인이 사이버공격에 더욱 취약해졌다. 금융기관, 의료서비스 제공업체, 정부기관을 겨냥한 대규모 해킹 사례들은 강력한 사이버보안 대책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업들은 진화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보안 솔루션,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보안 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성장하면서 투자 매력도가 높아지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는 2023년 1525억 달러에서 2033년 338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사이버보안은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섹터 중 하나가 됐다. 최근 수년간 발생한 대규모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막대한 데이터 유출, 인프라 장애, 수십억 달러의 재정적 손실이 발생했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 2024년 중국 연계 사이버 활동이 전 분야에서 150% 증가
  • 비싱 공격이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442% 급증
  • 가장 빠른 사이버범죄 침투 시간은 51초에 불과해 사이버 범죄자들의 시스템 침투 속도가 매우 빨라짐
  • 탐지된 사이버 사고의 79%가 멀웨어를 사용하지 않아 고도화된 공격 기법으로 전환되는 추세
  • 26개의 새로운 위협 행위자 출현
  • 식별된 취약점의 52%가 초기 접근 방식과 연관되어 지속적인 사이버 위협에 대한 진입점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됨

사이버 위협이 계속 진화함에 따라 기업과 정부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보호를 위해 사이버보안 투자를 우선시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 증가로 사이버보안 ETF와 기업들의 장기 성장이 기대된다.



사이버작전 중단설로 재조명받는 사이버보안


헤그세스 장관의 결정은 우크라이나 관련 미러 외교협상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대러 사이버작전은 랜섬웨어 조직 와해, 허위정보 유포 대응, 러시아 정보기관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타격 등을 포함해왔다. 이러한 작전은 미국의 인프라, 금융기관, 국가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이버 위협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활동의 중단이나 일시 정지는 러시아 정부 지원 해커와 사이버범죄 조직들의 미국과 유럽 대상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전직 정보당국자들은 민감한 외교협상 기간 중 군사 및 사이버작전을 일시 중단하는 것이 긴장 고조를 방지하기 위해 흔히 있는 일이라고 언급했다.


비판론자들은 일시적이더라도 공격적 사이버 역량을 축소하는 것이 미국의 억지력과 대응 메커니즘을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


상반된 견해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보안은 여전히 중요한 국가안보 및 비즈니스 우선순위로 남아있다. 미국의 대러 사이버작전 중단설로 잠재적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강력한 사이버보안 솔루션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