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중국의 차세대 AI 에이전트로 주목받고 있는 마누스AI가 딥시크에 이은 중국의 AI 혁신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초기 사용자들의 평가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내용
중국 스타트업 모니카가 개발하고 버터플라이 이펙트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마누스AI는 항공권 예약, 음식 주문, 게임 프로그래밍까지 가능한 '자율 에이전트'를 표방하고 있다.
초대장이 필요한 베타 서비스는 큰 관심을 모으며 디스코드 서버에 13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몰렸고, 중국 중고거래 앱 시안위에서는 초대 코드가 수천 달러에 거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휴깅페이스의 제품 책임자는 "지금까지 본 AI 도구 중 가장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으며, AI 연구원 딘 볼은 "AI를 활용한 가장 정교한 컴퓨터"라고 극찬했다.
시장 반응
그러나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은 이와 달랐다. AI 스타트업 플레이아스의 공동 창업자 알렉산더 도리아는 "끝없는 루프와 오류"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 연구원 젱이 친은 "마누스는 기술적 혁신이 아니다"라며 "미리 정의된 워크플로우를 따르는 제한된 환경에서만 작동한다"고 지적했다.
마누스는 부동산 매입이나 앱 개발 등 야심찬 기능을 내세우고 있지만, 핵심 기능 대부분이 앤트로픽의 클로드와 알리바바(NYSE:BABA)의 퀀 등 기존 모델의 미세조정 버전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영향
마누스의 등장은 중국 AI 시장이 급속히 진화하는 시점과 맞물린다. 중국의 또 다른 AI 기업 딥시크는 최근 미국 정부의 규제 검토 대상이 됐다.
2025년 1월, 딥시크가 미국 경쟁사 대비 훨씬 적은 비용으로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면서 엔비디아(NASDAQ:NVDA)의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6000억 달러 급감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딥시크 출력의 74%가 챗GPT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개발 과정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 한편 이달 초에는 텐센트의 위안바오 AI가 중국 내 아이폰 앱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하며 딥시크를 제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