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백악관 4월 2일 관세 부과 계획에 비트코인 투자자들 `촉각`

2025-03-25 00:24:39
백악관 4월 2일 관세 부과 계획에 비트코인 투자자들 `촉각`

백악관이 4월 2일부터 산업 전반에 걸친 관세 부과 대신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한 선별적 무역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초 지시는 자동차, 반도체, 제약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관세 부과를 포함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행정부는 이러한 산업별 조치를 보류하고 대신 특정 국가들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상호 관세 부과에 초점을 맞춘 보다 세밀한 접근법을 채택할 예정이다.


이 수정된 전략은 중국, 일본, 독일, 캐나다, 한국 등을 포함한 약 15개국('더티 15'로 내부 지칭)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 국가는 자국이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미국의 수입 관세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다른 관료들은 국가들을 고관세, 중관세, 저관세 범주로 분류하는 초기 제안에서 벗어나 더 좁은 범위의 계획을 지지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행정부는 4월 2일 즉시 관세를 시행하기 위해 대통령의 긴급 경제 권한 사용을 검토 중이다.


업계 대표들은 예외 적용을 요청했으나,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과 제임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는 과거와 같은 광범위한 예외 체제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강경한 접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협상 상황에 따라 선별적 예외가 가능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암호화폐 시장 영향


암호화폐 시장에서 이번 무역 긴장 고조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로 일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CRYPTO: BTC)을 안전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으나, 주식시장이나 무역 민감 업종의 위험회피 심리가 지속될 경우 암호화폐 시장으로도 파급될 수 있다.


보호무역주의 정책 강화는 무역 및 거시경제 혼란 속에서 투자자들과 기관들이 대체 헤지 수단을 모색하면서 탈중앙화 금융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