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이번주 방송스케쥴

G7, 중국 겨냥해 `비시장적 관행` 대응 강화...국가명 직접 언급은 자제

Proiti Seal Acharya 2025-05-23 18:36:50
G7, 중국 겨냥해 `비시장적 관행` 대응 강화...국가명 직접 언급은 자제

G7(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미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캐나다에서 3일간의 회의를 마치고 글로벌 무역 관행의 '과도한 불균형' 해소를 위한 대응을 약속했다.


주요 내용


G7 성명은 중국의 국가 보조금과 환율 관리 전략을 지칭하는 표현인 '비시장적 정책과 관행'을 언급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이번 성명은 기존의 기후 행동 관련 공약은 제외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도 다소 완화된 톤을 보였다.


성명은 중국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징과 연관된 국가 주도 경제 정책에 대한 반대 입장을 시사했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기존의 '불법적이고 정당화될 수 없는 침략 전쟁'이라는 표현 대신 '지속적인 잔혹한 전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회의가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독일 재무장관 라스 클링바일은 미국의 관세가 '세계 경제에 큰 부담'이라며 무역 갈등의 신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우리의 손을 내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캐나다의 프랑수아필립 샹파뉴는 '우리는 당면한 가장 시급한 글로벌 이슈들에 대해 공통분모를 찾았다'며 'G7이 목적과 행동에서 단합되어 있다는 매우 분명한 신호를 세계에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관세 문제가 상세히 논의됐다고 언급하며 '우리는 성장과 안정성을 높이려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세 문제는 피할 수 없는 논의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시장 영향


성명이 '비시장적 관행'을 언급하며 중국의 무역 전략에 대한 공동 대응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는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았다. 공개적 갈등은 피했으나, 특히 캐나다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철회를 요구한 것과 달리 이 문제가 성명에서 제외된 점이 주목된다.


우크라이나 관련 표현의 변화는 외교적 기류 변화를 반영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지원에 의문을 제기하고 우크라이나도 분쟁의 책임이 있다고 시사한 바 있다.


트럼프의 입장이 G7의 수사에 영향을 미쳤으나, 지난주 이스탄불에서 진행된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회담은 의미 있는 대면 접촉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바티칸에서의 추가 협상 가능성에 대해 크렘린은 '새로운 회담은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며 일축했다.


이번 G7 재무장관 회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6월 정상회의의 기조를 설정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