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종목검색 리뉴얼](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27af5a807ac6544f84aa0f7ce00492ba85.jpg)
![[이을수] 미국 ETF 한방에 끝내기 VOD](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23ba9d39248d5247a9b67a04651daebc55.jpg)
![[박준석]차이나는 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0490127707fa1042eda00fcf1d11687a87.jpg)
밈코인이 하룻밤 사이 등장하고 투기성 유행이 반복되는 가상자산 시장에 기관투자자들이 전혀 다른 투자 마인드로 진입하고 있다. 이들은 단기 수익 대신 위험조정수익률, 분산투자, 철저한 리서치를 중시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가 멀티매니저 펀드인 블록 에셋 매니지먼트(BAM)다. 이 펀드는 디파이, 인프라, 마켓뉴트럴 전략, 실물자산 토큰화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분산 투자를 제공한다. 고액자산가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개인투자자들도 이들의 투자 방식에서 배울 점이 많다.
이 글에서는 개인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기관투자 전략을 활용해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분산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모멘텀이나 화제성 때문에 선택한 소수의 토큰에 과도하게 집중 투자한다. 반면 기관들은 포트폴리오 방식으로 접근해 다양한 자산군과 전략에 자금을 배분함으로써 개별 투자의 변동성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상승 잠재력은 유지한다.
일반적인 기관의 가상자산 포트폴리오 구성:
롱숏 마켓뉴트럴 펀드
수익 창출 및 스테이킹 디파이 프로토콜
실물자산 토큰화(RWA)
스테이블코인과 인프라 토큰
NFT나 블록체인 게임(적정 비중)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 100개의 토큰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의도적인 분산투자는 필요하다. 개별 자산이 50% 하락해도 포트폴리오가 견딜 수 있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전 세계 거의 모든 기업금융 과정에서는 분산투자가 위험을 분산시키지만 수익도 분산된다고 가르친다.
투자자와 기관 모두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아닌 책임감 있게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다. 투기적 거래로 한 주에 200% 수익을 내고 다음 주에 300% 손실을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
전문 자금운용사들은 리스크 대비 수익을 중시한다. 이는 변동성, 고점 대비 하락폭, 극단적 위험 등을 추적하는 것을 포함한다.
개인투자자들이 이러한 접근법에서 배울 점:
1. 포지션 규모 제한
2. 스톱로스가 아닌 핵심 전략 지표를 활용한 수익실현 규칙 수립
3. 빠른 청산이 어려운 유동성 낮은 토큰 회피
자본 보존은 약점이 아닌 전략이다.
기관들은 자금 투입 전 스마트 계약 감사, 설립자 배경 조사, 법적 구조, 토큰 발행 모델, 규제 리스크 등을 철저히 점검한다.
개인투자자들도 이러한 실사가 가능하며 필요하다. 크립토플로우존과 같은 플랫폼은 지갑, 거래소, 리서치 플랫폼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제공해 개인투자자들의 가상자산 도구 평가를 돕는다.
백서, 팀 프로필, 감사 이력이 없는 프로젝트는 투자를 피해야 한다.
기관들은 소셜미디어 트렌드가 아닌 거시경제 지표, 사이클, 포트폴리오 전략에 기반해 투자한다. 이는 대개 위원회 승인을 거치며 데이터에 기반한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FOMO의 희생양이 되어 상승 차트와 뉴스에 감정적으로 반응한다.
개인투자자 교훈: 포트폴리오를 카지노처럼 운영하지 말라. 거래 계획, 위험/수익 비율, 자금 배분 계획을 세우고 감정이 고조될 때도 규칙을 지켜라.
스마트머니는 블록체인 인프라에 투자한다: 커스터디 솔루션, 온체인 데이터 제공자, 레이어1과 레이어2 프로토콜, 크로스체인 브릿지, 탈중앙화 거래소 등이다.
개인투자자들은 지속가능성이나 실용성이 없는 화제성 토큰이나 스토리 중심 트렌드를 쫓는다.
교훈: 일시적 유행이 아닌 생태계를 지탱하는 것을 찾아라.
자문하라: 5년 후에도 이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을까?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가? 가치 제안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가?
이는 전문 펀드매니저들이 투자 전에 묻는 동일한 질문들이다.
기관자금은 다년간의 시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분기별로 리밸런싱하고 자산군 내 상대 강도에 집중하며 단기 하락에 공황상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일부 개인투자자들은 지나치게 자주 모니터링하고 과도한 거래를 하며 헤드라인에 따라 즉각적인 매도를 한다. 문제는 정보의 가용성이 아닌 이해의 부족이다.
더 나은 결과는 장기 집중에서 온다. 가상자산, 특히 비트코인은 순환적 행태를 입증했다. 이를 이해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어떤 밈코인 베팅보다 강력하다.
개인투자자들도 기관의 사고방식을 따라 수익을 낼 수 있다. 분산투자, 리스크 관리, 리서치, 장기 계획과 같은 기본적인 펀드 운용 원칙을 채택함으로써 개인투자자들은 노이즈를 걸러내고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가상자산 시장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전문적 모델을 받아들이는 이들은 생존을 넘어 번영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것이다.
필자는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