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그리폰, 3분기 실적 발표...HBP 호조에도 CPP 부진 `명암`

2025-08-08 09:39:39
그리폰, 3분기 실적 발표...HBP 호조에도 CPP 부진 `명암`

그리폰(GFF)이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을 개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폰의 최근 실적발표는 강점과 도전과제가 혼재된 모습을 보였다. 주택 및 건자재(HBP) 부문에서 수익성 개선과 전략적 자본 배분이 이뤄진 반면, 소비자 및 전문가용 제품(CPP) 부문은 부진한 소비 수요와 관세 영향으로 손상차손이 발생하고 매출 가이던스가 하향 조정됐다.



주택 및 건자재 부문 호조


주택 및 건자재(HBP) 부문은 가격 책정과 제품 믹스 개선에 힘입어 EBITDA 마진이 31.4%를 기록하며 수익성 기대치를 상회했다. 이는 시장 내 해당 부문의 견고한 입지와 전략적 포지셔닝을 보여준다.



CPP 부문 EBITDA 마진 개선


소비자 및 전문가용 제품(CPP) 부문은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EBITDA 마진이 270bp 개선됐다. 이는 어려운 시장 상황 속에서도 운영 효율성을 높이려는 회사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다.



자사주 매입 및 배당


그리폰은 4,000만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주당 0.18달러의 분기 배당을 선언했다. 이는 56분기 연속 배당으로, 안정적인 재무 전략을 보여준다.



레버리지 감소


순부채 대비 EBITDA 레버리지 비율이 전년 동기 2.7배에서 2.5배로 감소했다. 이는 재무구조 개선과 재무적 유연성 강화에 중점을 둔 결과다.



조정순이익 증가


조정순이익은 6,900만 달러(주당 1.50달러)로, 전년 동기 6,100만 달러(주당 1.24달러) 대비 증가했다. 이는 매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개선한 것을 보여준다.



매출 감소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한 6억1,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부진한 소비 수요와 관세 압박이 전반적인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손상차손 발생


헌터팬 관련 영업권 및 무형자산에 대해 2억4,400만 달러의 세전 손상차손이 발생했다. 이는 수요 부진과 관세 인상에 기인한다.



순손실 기록


3분기 GAAP 기준 순손실은 1억2,000만 달러(주당 2.65달러)로, 전년 동기 순이익 4,100만 달러(주당 0.84달러)와 대조를 이뤘다. 이는 손상차손과 매출 감소의 영향을 반영한다.



매출 가이던스 하향


CPP 부문의 지속적인 소비 부진으로 연간 매출 전망을 1억 달러 하향 조정해 25억 달러로 제시했다.



CPP 부문 부진


CPP 부문 매출은 16% 감소했으며, 이는 물량이 19% 감소하고 관세 인상으로 고객 주문 패턴이 교란된 데 따른 것이다.



향후 전망


그리폰은 HBP 부문의 수익성이 기대치를 상회했으나, CPP 부문은 여전히 수요 부진과 관세 영향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도전과제에도 불구하고 연간 EBITDA 가이던스를 5억7,500만~6억 달러로 유지했다.



종합하면, 그리폰은 기회와 도전이 공존하는 복잡한 시장 환경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HBP 부문의 견조한 실적과 전략적 자본 배분은 긍정적이나, CPP 부문의 어려움은 지속적인 적응과 회복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