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메이플베어, 도전과제 속에서도 견고한 성장세 시현

2025-08-13 11:42:00
메이플베어, 도전과제 속에서도 견고한 성장세 시현

메이플베어(CART)가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이플베어의 이번 실적발표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성과가 두드러졌다. 인공지능 전략, 멤버십 확대, 기업 파트너십을 통해 총거래액(GTV), 주문량, 광고 수익에서 큰 성장을 기록했다. 평균 주문액 감소와 대형 소비재(CPG) 브랜드의 광고비 축소 등 일부 도전과제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재무성과와 긍정적 성장세에 힘입어 전반적인 전망은 낙관적이었다.



총거래액과 주문량 견고한 성장세


메이플베어는 주문량이 전년 대비 17% 증가하면서 총거래액이 11% 성장했다. 이는 사용자 참여도 증가와 주문 빈도 상승을 반영하며, 고객 기반 확대와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전략이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스타카트+ 멤버십 확대


유료 인스타카트+ 멤버십이 크게 증가했으며, 사용자들의 참여도도 높아졌다. 멤버십 성장은 지출 증가와 고객 유지율 개선으로 이어져 수익 증대에 기여했다.



AI 도입과 효율성 향상


2분기 배포된 코드의 80% 이상이 AI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당 평균 병합이 전년 대비 30% 증가하며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됐다.



광고 수익 성장


광고 및 기타 수익이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7,500개 이상의 브랜드 파트너와 함께 광고 플랫폼을 강화하며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을 개선했다.



견고한 현금 보유와 자사주 매입


분기말 현금 보유액은 1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3억5,700만 달러의 자사주 매입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견고한 재무상태는 성장 투자와 주주가치 환원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평균 주문액 감소


긍정적인 성장 지표에도 불구하고 평균 주문액은 전년 대비 5% 감소했다. 이는 레스토랑 주문 포함과 인스타카트+ 회원의 최소 주문액 하향 조정에 기인하며, 회사는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진행 중이다.



대형 CPG 광고비 지출 감소 문제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요 브랜드 파트너의 광고비 지출이 감소한 것이 과제로 지적됐다. 회사는 광고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완화하고 있다.



향후 전망


메이플베어는 3분기에 대해 낙관적인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3분기 총거래액은 90억~91.5억 달러로 전년 대비 8~10% 성장이 예상된다. 조정 EBITDA는 2.6억~2.7억 달러로 전망된다. 회사는 가격 경쟁력, 고객 유지, AI 통합을 포함한 기술 혁신에 초점을 맞춰 디지털 식료품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유지할 계획이다.



종합하면, 메이플베어는 총거래액, 주문량, 광고 수익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견고한 성장 궤도를 유지하고 있다. 평균 주문액 감소와 CPG 광고비 축소 등의 과제가 있었으나, 전략적 이니셔티브와 견고한 재무상태를 바탕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향후 전망 가이던스는 혁신과 시장 리더십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재확인시켰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