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서는 기초체력이 점점 약화되고 있다. 주가 상승에 동참하는 종목 수를 나타내는 시장 참여도가 2008년 수준 아래로 떨어졌다. 2008년은 모든 경제 교과서에 특별한 의미로 기록된 해다.
인베스코 S&P 500 동일가중 ETF(NYSE:RSP)와 시가총액 가중방식의 SPDR S&P 500(NYSE:SPY)의 비율이 0.292로 2008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22년 약세장 저점과 비교하면 약 15%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불균형은 단순히 이례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위험한 신호다. 시장 주도주가 이 정도로 집중될 때마다 시장은 큰 충격을 받았다. 닷컴버블과 금융위기 때도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또 다른 우려스러운 지표도 있다. S&P 500 기업 중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거래되는 기업 비율이 59%에 불과하다.
200일 이동평균선은 중기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다. 60% 미만이라는 것은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200개 이상의 기업이 하락 추세에 있다는 의미다.
골드만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이처럼 시장 집중도가 극단적인 수준에 도달하면 향후 10년간의 수익률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강세장이 장기간의 부진으로 이어지거나 더 악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투자자들은 엑스트래커스 S&P 500 동일가중(OTC:CPTFF) 같은 동일가중 ETF나 대형주 버블 밖에 있는 가치주, 소형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투자는 시장 집중도가 완화되고 주도주가 교체될 때 좋은 성과를 보였다. 동적 전략, 헤지, 또는 단순히 대형주 패시브 투자 비중을 줄이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소형주에 대한 무분별한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 대형주들이 '승자의 저주'를 겪는 동안 소형주들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됐다. 러셀 2000 지수 구성 기업의 약 43%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S&P 500의 6% 수준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로 '역다각화' 위험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