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구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구리가 재생에너지 인프라, 전기차(EV), 전력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새로운 광산 개발에 나서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35년까지 구리 부족량이 수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알루미늄과 같은 대체재를 모색하고 있다. 알루미늄은 높은 전도성과 내부식성 등 구리의 바람직한 특성을 많이 공유하고 있다. 지구 지각에는 최대 8.1%의 알루미늄이 보크사이트 광석 형태로 존재해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금속이다. 반면 구리 매장량은 지표면 더 깊은 곳에서 1차 광석 침적물의 광화작용을 통해 형성되어 발견과 추출이 더 어렵고 양도 적다. 알루미늄의 응용 분야는 전기차를 넘어 전력망과 재생에너지 시스템으로 확대되고 있다. 가공 송전선, 태양광 패널 프레임, 풍력 터빈 부품 등이 대표적이다. 해저 케이블과 중요한 변압기 권선은 여전히 구리의 우수한 전도성과 피로 저항성 때문에 구리를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