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메르세데스-벤츠 그룹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정리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도전적인 경제 환경 속에서도 전략적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품 개발과 전기차 부문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밴 부문의 경제적 역풍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견고한 전략을 제시했다. 다만 관세와 중국 시장에 대한 우려와 함께 판매 가이던스 하향 조정, 관세 전환 관련 불확실성이 두드러졌다.
메르세데스-벤츠는 2분기에 견고한 재무성과를 기록했으며, 특히 현금흐름 창출이 돋보였다. 회사는 강력한 현금흐름 유지에 초점을 맞춰 이번 분기 성공적인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변동성 높은 시장 상황에서도 사업 운영과 주주가치 유지에 대한 메르세데스-벤츠의 의지를 보여준다.
향후 3년간 25개 이상의 개별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신형 CLA와 CLA 슈팅브레이크 모델이 유럽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시장 평가를 확인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뮌헨 국제모터쇼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아키텍처(MB.EA) 기반의 첫 차량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지속가능한 자동차 솔루션을 향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전기차 라인업 강화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어려운 경제 환경에도 불구하고 밴 부문은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 아마존으로부터 5,000대의 전기 밴 주문을 받은 것은 메르세데스-벤츠 밴에 대한 수요와 신뢰를 입증하는 사례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연초부터 창출된 잉여현금흐름으로 배당금 지급을 충당했다. 자사주 매입 가능성을 포함한 자본 배분 프레임워크를 유지하며 재무자원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2분기 관세 영향으로 중간 3자리 수 백만 유로의 타격을 입었다. 연간 기준으로는 약 150베이시스포인트의 영향이 예상되어 국제 무역 정책으로 인한 재무적 압박이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의 거시경제 환경이 여전히 부진해 메르세데스-벤츠의 판매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장 입지와 실적 유지를 위해 전략적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메르세데스-벤츠는 2025년 판매 전망을 2024년 대비 크게 낮췄다. 이는 주로 중국 시장의 도전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자동차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새로운 관세 체제로의 전환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상당해 메르세데스-벤츠의 재무성과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회사는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러한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여러 핵심 지표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자동차 판매는 2024년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금 전환과 향후 3년간 25개 이상의 신모델 출시에 계속 집중할 계획이다. 자동차 부문의 매출수익률은 현재 관세를 고려해 4~6% 범위를 전망한다. 밴 부문은 8~10%의 매출수익률을, 메르세데스-벤츠 모빌리티 부문은 8~9%의 자기자본이익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제품과 기술 공세를 지속하면서 관세 영향과 시장 불확실성을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결론적으로 메르세데스-벤츠 그룹의 실적발표는 현재의 경제적 도전을 전략적으로 헤쳐나가려는 회사의 의지를 보여준다. 제품 혁신, 전기차 모빌리티, 전략적 재무관리에 대한 강한 집중을 통해 시장의 역풍을 극복할 준비가 되어 있다. 회사의 회복력과 미래지향적 접근은 성장과 주주가치 유지에 대한 의지를 잘 보여주는 핵심 요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