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펜스키오토모티브(PAG)가 2분기 실적발표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번 실적발표에서 펜스키오토모티브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일부 부문과 시장에서 도전과제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매출 실적과 주요 재무지표의 성장을 보여주며 회사의 회복력과 적응력을 입증했다.
펜스키오토모티브는 전략적 매각과 딜러십 폐쇄로 2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있었음에도 77억 달러의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회사가 재무적 어려움을 극복하면서도 매출 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세전이익(EBT)과 순이익이 4% 증가했으며, 주당순이익은 5% 상승했다. EBT 마진은 20bp 개선된 4.4%를 기록해 효과적인 재무관리와 운영 효율성을 보여줬다.
펜스키오토모티브의 총이익은 13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총이익률은 50bp 상승한 16.9%를 기록했다. 이는 회사의 견조한 재무건전성과 수익성 개선 능력을 반영한다.
신차는 대당 141달러, 중고차는 대당 504달러의 총이익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펜스키의 효과적인 가격 전략과 시장 포지셔닝을 보여준다.
미국 서비스 및 부품 부문은 매출과 총이익에서 신기록을 달성했으며, 동일 매장 총이익은 9% 증가했다. 이는 이 부문이 회사의 전체 수익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모데나의 페라리 딜러십 인수는 럭셔리 자동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였다.
미국에서는 330bp, 영국에서는 30bp의 고정비 흡수율 개선을 달성해 효과적인 비용 관리와 운영 효율성을 입증했다.
리스 반납 감소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중고차 판매가 3% 감소했다. 이는 중고차 시장의 변동성과 그 영향을 보여준다.
OEM 제품 변경과 인센티브 감소로 인해 영국 시장에서 신차 인도량이 16% 감소했다. 이는 시장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펜스키 운송 솔루션의 렌탈 매출이 9% 감소해 렌탈 시장 부문의 도전과제와 전략적 조정의 필요성을 보여줬다.
매각과 딜러십 폐쇄로 약 2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으나, 이는 전략적 구조조정의 일환이었다.
펜스키오토모티브는 매출 기반 유지와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북미, 영국 및 기타 국제 시장에서의 다양한 매출원을 보유하고 있어 시장 상황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다. 비용 통제와 전략적 성장 이니셔티브에 중점을 두어 향후 분기에도 지속적인 성공이 기대된다.
종합하면, 펜스키오토모티브의 이번 실적발표는 일부 시장의 도전과제에도 불구하고 회복력과 전략적 성장을 보여줬다. 안정적인 매출 실적, 이익 성장, 전략적 인수를 통해 회사의 견조한 재무건전성과 장기적 성공에 대한 의지를 입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