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클라우드링크 그룹(UCL)이 3분기 실적 발표를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클라우드링크 그룹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순이익 성장과 사용자 기반 확대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지만, 매출과 서비스 부문 총이익률의 눈에 띄는 감소, 현금흐름 문제로 인해 이러한 성과가 가려졌다. 회사는 지속되는 거시경제 및 무역 문제로 인해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신중한 전망을 내놓았다.
회사는 2025년 3분기 순이익이 930만 달러를 기록해 2024년 동기 340만 달러 대비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상당한 성장은 어려운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높이는 회사의 역량을 보여준다.
평균 월간 활성 사용자(MAU)는 3분기에 76만1586명을 기록해 2024년 68만609명 대비 11.9% 증가했다. 글로컬미 IoT, 글로컬미 싱크, 글로컬미 라이브 사업 부문은 각각 MAU가 593.3%, 188.2%, 382.3% 증가하며 눈부신 성장을 보였다.
글로컬미 제품군은 MAU에서 전년 대비 인상적인 성장을 보였다. 글로컬미 SIM은 382.3%, 글로컬미 IoT는 188.2%, 글로컬미 라이브는 593.3% 증가했다. 이러한 확장은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회사의 성공적인 전략을 강조한다.
2025년 9월 유클라우드링크는 홍콩과 중동에서 펫폰을 출시해 약 4만 대의 주문을 받았다. 이 제품은 IFA 혁신상 수상작으로 선정되며 회사의 제품 혁신 노력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중국 본토 매출은 전체 매출의 35.1%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확장은 중국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포착하려는 회사의 전략적 집중을 반영한다.
전체 총이익률은 2025년 53.6%로 2024년 48.4%에서 개선됐다. 이는 운영 효율성과 비용 관리를 강화하려는 회사의 노력을 나타낸다.
회사는 2025년 3분기 총매출이 2110만 달러로 2024년 동기 2520만 달러 대비 16%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는 현재 경제 환경이 제기하는 과제를 부각시킨다.
서비스 부문 총이익률은 2025년 36.6%로 2024년 동기 60%에서 크게 하락했다. 이는 서비스 부문에서 증가한 비용 압박과 경쟁 과제를 반영한다.
회사는 2025년 3분기 영업현금 유출액이 9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동기 영업현금 유입액 200만 달러와 대조된다. 이러한 변화는 회사가 직면한 재무적 압박을 강조한다.
제품 매출은 400만 달러 감소했으며, 데이터 관련 제품과 단말기 판매에서 구체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회사의 판매 접근 방식에서 전략적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회사는 거시경제적 과제와 글로벌 무역 역풍으로 인해 매출 가이던스를 수정했다. 수정된 전망은 운영 수익성을 유지하면서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는 데 전략적으로 집중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유클라우드링크 그룹은 2025년 1분기 매출이 2200만 달러에서 2650만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2025년 전체 연도 예상 매출은 8130만 달러에서 8580만 달러 사이다. 회사는 운영 수익성 유지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글로컬미 제품군의 상당한 성장을 부각했다. 연구개발 및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투자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혁신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펫테크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같은 부문에서 강력한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약하면, 유클라우드링크 그룹의 실적 발표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순이익 성장과 사용자 기반 확대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지만, 매출과 서비스 마진 감소, 현금흐름 문제로 인해 이러한 성과가 완화됐다. 회사의 향후 전망 가이던스는 지속되는 거시경제적 과제를 헤쳐나가기 위한 신중하면서도 전략적인 접근 방식을 반영하며, 혁신과 시장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