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감시기구(HRW)와 마약정책연합(DPA)이 공동으로 발표한 새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 마약 금지법이 이민자 추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티베이티드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20년 사이 50만 명 이상의 이민자가 마약 관련 범죄로 추방됐으며, 이 중 상당수는 현재 주법에 따라 비범죄화된 사례들이다. 특히 4만7000건 이상이 대마초 소지와 관련된 것으로 조사됐다.
상충하는 법률의 인간적 대가
DPA의 연방 업무 담당 이사인 마리차 페레스 메디나는 "이민자들에 대한 피해를 다루지 않는 한 마약 개혁 정책은 포용적이고 공평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HRW의 이민 및 국경 정책 담당 부국장인 비키 가우베카는 인간적 비용을 강조하며 "수십 년 전의 마약 범죄, 심지어 오늘날에는 합법인 범죄로 인해 왜 부모나 조부모가 돌보던 아이들과 떨어져 추방되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연방법과 주법의 불일치
많은 주에서 마약법을 개정하여 대마초를 비범죄화하거나 합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연방 이민법은 1980년대부터 마약 범죄에 대해 처벌적 태도를 유지해왔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주법상으로는 더 이상 범죄가 아닌 경미한 마약 범죄로도 이민자들이 계속해서 추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보고서는 대마초에 관한 주법과 연방법 간의 충돌이 실제로 미치는 인간적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연방법이 주 차원의 개혁을 무시하고 이민자들에게 계속해서 가혹한 처벌을 가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인종 차별과 가족 분리
마약 범죄로 인한 이민자 추방의 지속은 주 차원의 개혁을 무력화할 뿐만 아니라 인종 차별을 영속화한다. 보고서는 이로 인해 흑인과 갈색 피부의 이민자들이 불균형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가족 분리와 지역사회 불안정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현행 정책은 특히 대마초와 관련하여 보다 인도적인 마약 정책을 향한 여론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연방 개혁과 사법 재량권 요구
HRW와 DPA는 불필요한 고통과 이민자들의 삶의 붕괴를 막기 위해 연방법이 주 차원의 마약법 개혁에 발맞출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추방 사건에서 이민 판사들에게 더 많은 재량권을 부여하고 비시민권자들에게도 주 마약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