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에서 대마초가 합법화됐지만 예상됐던 합법 재배의 급증은 아직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 최대 129개의 재배 협회를 지원할 수 있는 이 도시에서 법이 시행된 지 2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단 2건의 신청만이 접수됐다. 헤센주 전체에서도 카셀, 기센, 포겔스베르크를 포함해 14건의 신청만이 접수됐으며, 아직 승인된 건은 없다.
관료주의적 장벽이 합법화 노력 저해
느린 반응은 주로 복잡한 관료주의적 요구사항 때문이다. 신청자들은 범죄경력증명서와 전자 신청을 위한 엘스터 인증서 등 광범위한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클럽 예방 담당관을 위한 중독 예방 교육이 추가되어 복잡성이 더해졌다. 헤센주에서는 누가 이 교육을 제공할 권한이 있는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3개월이라는 짧은 기한과 500에서 1,000유로에 이르는 신청 수수료도 많은 잠재적 신청자들을 막고 있다.
의료용 마리화나 시장, 합법화 난항 속에서도 확대
합법적 레크리에이션 시장이 어려움을 겪는 동안 독일의 의료용 마리화나 부문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연방 의약품·의료기기연구소(BfArM)는 2024년 2분기 의료용 마리화나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독일은 11,706kg의 건조 대마초 꽃을 수입했는데, 이는 1분기 대비 44% 증가한 수치다. 환자 수는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 400% 증가했다.
합법화 노력 지연되는 사이 불법 시장 번성
합법화에도 불구하고 프랑크푸르트의 불법 대마초 시장은 번성하고 있다. 합법 시장이 자리잡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불법 대마초 거래가 크게 증가했다. 프랑크푸르트 경찰과 공공질서국은 단속에 큰 변화가 없다고 보고하며, 과도한 대마초 소지와 관련된 17건의 미결 사건이 있다고 밝혔다. 공공질서국은 공공장소에서 25~30g 이상 또는 가정에서 50~60g 이상 소지한 개인들을 대상으로 278.50유로의 벌금을 징수했다.
독일 전역의 지역별 격차와 지연
프랑크푸르트의 어려움은 독일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독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는 대마초 재배 협회 신청이 43건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이 불완전한 상태다. 베를린은 더 큰 관료주의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어 신청을 처리할 명확한 권한이 지정되지 않았다.
한편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는 38건의 신청이 제출됐지만 지연으로 인해 승인된 건은 없다. 니더작센주는 대마초법 위반에 대해 무거운 벌금을 도입할 계획이며, 이는 새로운 규정을 시행하는 데 있어 더 광범위한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합법 대마초 유통의 미래 불투명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프랑크푸르트는 여전히 통제된 대마초 유통 모델을 추구하는 데 관심이 있다. 비스바덴 등 다른 도시들도 비슷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비스바덴의 보건장관은 지역 대마초 시범 재판에 참여하기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다. 그러나 프랑크푸르트는 아직 계획을 확정하거나 일정을 수립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