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에디슨(Phillips Edison, 나스닥: PECO)이 2024년 10월 24일 목요일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투자자들을 위해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간단한 개요를 살펴보자.
증권가는 필립스에디슨의 주당순이익(EPS)이 0.14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필립스에디슨의 실적 발표를 고대하고 있으며,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과 다음 분기에 대한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기대하고 있다.
신규 투자자들은 가이던스가 주가 움직임의 주요 결정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적 발표 이력
지난 실적 발표에서 회사는 EPS가 0.01달러 하회했으나, 다음 거래일 주가는 0.5% 상승했다.
다음은 필립스에디슨의 과거 실적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을 보여준다.
분기 |
2024년 2분기 |
2024년 1분기 |
2023년 4분기 |
2023년 3분기 |
---|
EPS 예상 |
0.13 |
0.13 |
0.10 |
0.11 |
EPS 실제 |
0.12 |
0.14 |
0.11 |
0.10 |
주가 변동률 |
1.0% |
-1.0% |
1.0% |
-2.0% |

필립스에디슨 주가 실적
10월 22일 기준 필립스에디슨의 주가는 36.8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52주 동안 주가는 7.38% 상승했다. 이러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수익률을 고려할 때, 장기 주주들은 이번 실적 발표를 앞두고 만족할 만한 상황이다.
필립스에디슨에 대한 애널리스트 의견
시장 분위기와 업계 내 기대치를 이해하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번 분석에서는 필립스에디슨에 대한 최신 견해를 살펴본다.
3명의 애널리스트 평가를 종합한 결과, 필립스에디슨에 대한 전체적인 의견은 '중립'이다. 평균 1년 목표주가는 36.67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0.6%의 하락 여지를 시사한다.
동종 업계 기업들의 평가 분석
이번 분석에서는 메이스리치(Macerich), 탱거(Tanger), 카이트 리얼티 그룹 트러스트(Kite Realty Gr Trust) 등 주요 업계 경쟁사들의 애널리스트 평가와 평균 1년 목표주가를 살펴보며, 이들의 상대적 실적 기대치와 시장 포지셔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메이스리치는 애널리스트들로부터 '중립' 의견을 받았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15.9달러로 56.9%의 하락 여지를 나타낸다.
- 탱거에 대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은 '중립'이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31.8달러로 13.8%의 하락 가능성을 시사한다.
- 카이트 리얼티 그룹 트러스트는 애널리스트들로부터 '아웃퍼폼' 전망을 받았으며, 평균 1년 목표주가는 28.83달러로 21.85%의 하락 여지를 보여준다.
동종 업계 기업 분석 요약
이 분석은 메이스리치, 탱거, 카이트 리얼티 그룹 트러스트의 주요 지표를 보여주며, 업계 내 각 기업의 위치와 시장 포지션, 상대적 실적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회사 |
전망 |
매출 성장률 |
총이익 |
자기자본이익률 |
---|
필립스에디슨 |
중립 |
6.16% |
1억1464만 달러 |
0.67% |
메이스리치 |
중립 |
1.48% |
1억1603만 달러 |
10.52% |
탱거 |
중립 |
16.55% |
9141만 달러 |
4.44% |
카이트 리얼티 그룹 트러스트 |
아웃퍼폼 |
1.76% |
1억5738만 달러 |
-1.40% |
주요 시사점:
필립스에디슨의 매출 성장률은 동종 업계 내에서 중간 수준이다. 총이익은 비교 대상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이익률 또한 최고 실적 기업에 비해 낮은 편이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주요 재무 지표들을 개선하여 업계 최고 수준에 근접할 필요가 있다.
필립스에디슨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필립스에디슨 앤 컴퍼니(Phillips Edison & Co Inc)는 부동산 투자 신탁(REIT)이다. 이 회사는 입지가 좋고 식료품점이 앵커 테넌트로 자리 잡은 근린 및 지역사회 쇼핑센터에 투자한다. 회사는 부동산 가치를 최적화하고 일관되게 훌륭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시장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통합 사내 운영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필립스에디슨의 재무 현황 분석
시가총액 분석: 업계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시가총액을 보유하고 있어 규모면에서 제약이 있다. 이는 성장 기대치나 운영 능력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긍정적인 매출 추세: 필립스에디슨의 3개월 재무 실적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난다.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회사는 6.16%의 주목할 만한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며 실질적인 매출 증가를 보여줬다. 그러나 부동산 섹터 내 동종 업계 기업들과 비교하면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순이익률: 필립스에디슨의 순이익률은 업계 평균에 미치지 못해 높은 수익성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9.45%의 순이익률로 볼 때, 회사는 효과적인 비용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필립스에디슨의 ROE는 업계 평균 이하로, 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잠재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0.67%의 ROE로 볼 때, 회사는 최적의 재무 수익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총자산이익률(ROA): 필립스에디슨의 ROA는 업계 기준에 미치지 못해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0.31%의 ROA로 볼 때, 회사는 자산으로부터 만족스러운 수익을 창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부채 관리: 회사는 업계 기준보다 낮은 0.95의 부채비율로 균형 잡힌 부채 접근법을 유지하고 있다.
필립스에디슨의 모든 실적 발표 일정을 확인하려면 당사 사이트의 실적 캘린더를 방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