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사이키델릭 보조 치료법(PAT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욱 명확한 안전 지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이로사이빈, LSD, MDMA와 같은 물질을 이용한 사이키델릭 치료법이 우울증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해 유망한 결과를 보이며 연구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일부 치료법에 획기적 치료제 지위를 부여했지만, 최근 안전성 우려로 PTSD 치료용 MDMA를 거부한 사례는 이러한 치료법의 부작용(AEs) 평가 표준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연구가 주로 이들 치료법의 이점에 초점을 맞춘 반면, 위험과 부작용에 대한 평가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사이코파마콜로지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이키델릭 치료법 특유의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식별, 모니터링, 보고하는 포괄적 접근법을 제시했다.
사이키델릭 보조 치료법은 강력한 사이키델릭 물질의 효과와 정신요법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치료법과 다르다. 이러한 조합은 강렬한 시각 효과, 영적 통찰, 깊은 심리적 변화 등 표준 안전성 평가에서 간과되기 쉬운 독특한 경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의약품 규제 활동을 위한 의학 용어집과 같은 임상시험의 부작용 보고 현행 지침은 이러한 독특한 효과를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 있다.
로만 팔리츠키 저자와 그의 팀은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 이는 사이키델릭 치료법 특유의 54가지 잠재적 부작용을 육체적, 정신적, 영적 영향을 포함해 개괄한다. 팔리츠키는 "사이키델릭 치료법은 강력한 약리학적 효과와 정신요법을 혼합하기 때문에 특화된 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새로운 접근법은 위험에 대한 더 자세한 이해를 제공하여 연구자와 임상의가 환자를 더 잘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키델릭 치료에서 부작용 평가의 주요 문제는 과소보고다. 환자들은 특히 사이키델릭 물질 비범죄화를 지지한다면 부정적 경험을 언급하지 않을 수 있다. 치료사들 역시 치료의 이점에 대한 자신의 기대 때문에 부작용을 간과하거나 잘못 해석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부작용을 더 잘 평가하기 위해 자가보고, 임상의 관찰, 환자 주변인의 피드백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힘든 감정에 직면하는 것과 같은 정상적인 불편함과 지속적인 불안이나 우울증 같은 진정한 부작용을 구분한다. 일부 사이로사이빈 시험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문제가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사이키델릭 치료법 특유의 부작용을 추적하기 위한 몇 가지 새로운 범주를 소개한다. 정신영적 문제는 영적 신념이나 실존적 웰빙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다룬다. 대인관계 문제는 사이키델릭이 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한 사회적 행동 변화를 포함한다. 행동 변화는 수면 장애나 물질 사용 증가 등을 다루며, 문화적 인식론적 피해는 환자의 문화적 또는 종교적 신념과의 잠재적 충돌을 다룬다. 이러한 범주들은 사이키델릭과 정신요법을 결합할 때의 독특한 위험을 강조하며, 환자 안전에 대한 더 상세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많은 부작용이 치료 세션 후 몇 주 또는 몇 달이 지나서야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된 후속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장기 모니터링은 사이키델릭이 유도한 변화가 개인의 세계관, 관계, 전반적인 웰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저자들은 "사이키델릭 경험으로 인한 변화가 완전히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어 정확한 평가를 위해 장기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라고 제안한다. 그들은 치료 후 최소 6개월 동안 부작용을 평가할 것을 권장하며, 이를 통해 연구자들이 그렇지 않으면 간과될 수 있는 지연된 영향을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사이키델릭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으로, 부작용을 더 효과적으로 추적하기 위한 체계적 접근법을 제공한다. 더 넓은 범위의 위험을 식별함으로써 임상의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고 환자 안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향후 연구는 이 프레임워크를 검증하고 개선하여 모든 잠재적 부작용을 포착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팔리츠키의 프레임워크는 사이키델릭 치료법의 안전성 보고를 표준화하는 포괄적인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치료법이 주류로 진입함에 따라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