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의 재정 전략과 암호화폐를 연계하는 국가 비트코인 보유고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내용
워싱턴포스트 27일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 임원들이 미국 정부의 수십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매입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들은 비트코인을 장기 자산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찬성 측은 비트코인(BTC) 가치 상승이 36조 달러를 넘어선 국가부채 상환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 측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납세자 부담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 제안에 개방적인 입장을 보이며 압수한 비트코인의 연방 판매를 중단하고 대신 전략적 보유고를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트럼프는 지난 여름 컨퍼런스에서 "정부가 오랫동안 모든 비트코인 소유자가 잘 알고 있는 황금률을 위반해 왔다. 바로 절대 비트코인을 팔지 말라는 것"이라며 "이 보유고는 모든 미국인에게 혜택을 주는 영구적인 국가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찬성 측 의견
지지자들은 비트코인 보유가 혁신적인 재정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디지털 챔버 로비 그룹의 코디 카르보네 대표는 비트코인을 "디지털 골드"로 표현하며 "보유고가 우리에게 엄청난 재정적 성공을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
S&P 글로벌의 앤드류 오닐 전무는 이에 동의하며 비트코인 가치 상승이 "국가 부채의 상당 부분을 상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런 대담한 주장에도 경제학자와 금융 전문가들은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이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 아이디어를 비판하며 "여기에는 식별 가능한 논리가 전혀 없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좋아할 만한 일이지만 납세자들에게는 위험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비트코인 가치의 예측 불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현재 고가에 매입할 경우 시장이 붕괴하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이 제안이 정부의 매입으로 가격이 오를 경우 기존 비트코인 보유자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대 측 의견
비판론자들은 이러한 조치가 공적 자금을 위험에 빠뜨리면서 주로 부유한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혜택을 줄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국 정부는 이미 법 집행 활동을 통해 압수한 약 200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 자산들은 주기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트럼프의 제안은 이러한 판매를 중단하고 압수된 비트코인을 국가 보유고의 기초로 삼는 것이다.
그의 입장은 암호화폐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어 대선 승리 이후 비트코인 가격이 9만 2000달러까지 급등했다.
트럼프와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도 이 아이디어를 제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암호화폐 지지자로 알려진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공화당-와이오밍)은 향후 20년간 최대 100만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했다. 루미스 의원은 미국 금 보유고 재평가를 통한 자금 조달을 제안하며 이 계획이 국가 부채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루미스 의원은 "내가 제출한 법안에는 단 1달러의 납세자 돈도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 재평가 등의 조치가 매우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애틀랜틱 카운슬 지오이코노믹스 센터의 아난야 쿠마르 부국장은 "20년 후 비트코인 가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금이나 다른 안정적인 자산보다 비트코인을 선호하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제안은 역사적 이정표와도 비교되고 있다.
주요 비트코인 투자자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 회장은 국가 비트코인 보유고를 루이지애나 매입에 비유하며 "미국의 명백한 운명"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이 자산의 변혁적 잠재력을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