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변동성과 이를 활용한 투자 기회에 대해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변동성은 가격 변동의 폭을 평균값 대비 측정한 것이다. 변동성을 측정하는 도구로는 표준편차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평균실제범위(ATR)나 볼린저밴드도 트레이딩 시스템 개발에 자주 활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각각의 특성이 있지만, 모두 과거 변동성을 측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즉 특정 기간 동안 자산이 보여준 변동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새로운 개념인 내재변동성을 소개한다. 과거 변동성이 후행적 지표라면, 내재변동성은 자산의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지표다. 본질적으로 시장과 마켓메이커들이 예상하는 근미래의 자산 움직임을 반영한다.
기술적으로 내재변동성은 세계 최대 시장 중 하나인 S&P 500 옵션과 같은 복잡한 금융상품의 가격에서 도출된다. 이를 측정하는 지표가 VIX 지수로,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별명은 VIX가 주식시장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이다. 변동성 증가나 시장 하락이 예상될 때 상승하고, 시장이 안정될 때는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그림 1에서 보듯이 VIX 지수는 독특한 패턴을 보인다. 대부분의 시간 동안 평균값 주변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이다가 시장 붕괴 시기에 짧고 급격한 상승을 보인다.
시장 변동성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VIX 지수와 같은 내재변동성을 거래 결정의 필터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표준편차, ATR, 볼린저밴드와 같은 과거 변동성 도구의 활용과 유사하며, 성공 확률이 높은 거래에 집중하기 위해 거래 활동을 제한하는 접근법이다.
둘째는 본 기사에서 다룰 내용으로, 내재변동성을 직접 거래하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내재변동성을 복제하도록 설계된 금융상품을 활용한다.
이 전략은 시카고 CBOE에서 거래되는 VIX 선물(@VX)에 초점을 맞추며, VIX 지수가 기초자산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VIX 지수는 강한 평균회귀 성향을 보인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볼린저밴드를 기반으로 한 간단한 트레이딩 시스템을 30분 차트에 적용했다. 2010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표준거래시간(오후 5시~오후 4시) 동안 백테스트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