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산업을 위협하려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도 은행과 마찬가지로 고객 예치금의 70-90%를 국채, 환매조건부채권(RP), 최우량 채권, 머니마켓펀드 등 채권형 상품에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2023년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과 같이 이들의 포트폴리오도 금리/인플레이션 변동, 외국인 투자자 심리, 신규 예치금을 크게 초과하는 인출로 인한 운용자산(AUM) 감소에 취약하다.
이러한 취약성으로 인해 1933년 은행 위기가 발생했고, 이에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설립해 은행 파산에 대비한 예금 보험 제도가 도입됐다. 이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은행들은 1933년 글래스-스티걸법에 따라 고객 이익을 우선시하는 예금 업무와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운용을 분리하며 리스크를 대폭 축소해야 했다.
그러나 브로커/딜러 핀테크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이러한 규제를 받지 않아 예금 보험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안전망 없이 운용자산과 채권시장의 영향을 그대로 받는다. 실제로 2025년 4월 11일 종료되는 주간에 10년물 미국채 금리가 코로나 사태 이후 최대 폭인 3.99%에서 4.5%로 급등하며 채권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최우량 채권을 발행 시점에 매입해 만기까지 보유하면 항상 양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흔한 오해다. 하지만 이는 디폴트 위험을 무시하고 발행사의 신용등급에 불리한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이다.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조차 2023년 8월 피치가 장기 국채 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 조정하면서 디폴트에 대한 보험인 신용부도스왑(CDS) 스프레드가 일시적으로 크게 상승했다. 따라서 디폴트 위험을 감안한 채권 수익률이 항상 플러스가 되지는 않는다.
변동성이 큰 금리 환경도 채권 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위험을 높일 수 있다. 1994년 글로벌 채권 대학살을 촉발한 미 연준의 급격한 인플레이션 억제 금리 인상처럼 중앙은행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조치를 취하는 등 금리 변동성을 야기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전면적 관세 부과처럼 물가/인플레이션 상승 위험뿐 아니라 미국산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공급망을 뒤흔들 수 있는 부실하거나 변덕스러운 경제 정책으로 인한 국채 수요 감소도 있다.
결론적으로 디폴트 위험, 경제 정책, 투자자 심리가 채권시장을 좌우하며, 변동성은 채권의 안전자산 지위를 위협할 수 있는 고정수익 상품의 대척점에 있다.
인출이 가용 현금을 초과하는 신규 예치금보다 많으면 채권을 급히 유통시장에서 매각해 손실이 확정된다. 이러한 매각으로 운용자산이 회사의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수익을 창출하는 데 필요한 최소 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해당 은행은 더 이상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된다.
이러한 사례로 실리콘밸리은행, 시그니처뱅크, 퍼스트리퍼블릭뱅크가 파산했고, 뱅킹애즈어서비스를 제공하던 브로커/딜러 시냅스의 파산으로 다수의 핀테크 기업이 연쇄 도산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파산했는데, 2019년 BitUSD와 2022년 테라/루나가 대표적이다.
2023년에는 총자산 5,480억 달러 규모의 5개 은행이 파산했지만 모든 예금이 수일 내에 전액 상환됐다. 25만 달러 한도를 초과하는 계좌도 전액 보상받았다. 반면 시냅스의 수탁사는 여전히 약 8,500만 달러의 고객 예치금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테라/루나의 UST가 달러 페그를 잃으면서 약 400억 달러가 증발했다.
스테이블코인은 포트폴리오 내 가장 취약한 채권과 운용자산만큼만 안정적이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운영된다고 해서 은행과 유사한 투자 전략을 따르는 한 금리 변동과 뱅크런 같은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일부 대형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이는 주로 현재의 고금리 환경과 국채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수요 때문이다. 금리가 지나치게 오르면 정부가 디폴트할 수 있고 채권시장이 붕괴하면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도 무너질 수 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지속 불가능한 낮은 투자수익률을 감수하거나, 파산 전 실리콘밸리은행처럼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등 위험한 투자 전략으로 선회할 수 있다.
어느 쪽이든 투자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