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포스트 팬데믹 실적 호조로 투자은행들의 총아였던 MGM차이나, 2025년 1분기 실적 하락세 전환
중국의 엄격한 팬데믹 규제 해제 이후 2년간 호황을 누렸던 아시아 최대 도박 중심지 마카오의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올해 들어 중국 경기 둔화로 카지노 매출이 눈에 띄게 감소하면서 카지노 운영사들의 실적이 타격을 받고 있다.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았던 MGM차이나 홀딩스(2282.HK)도 이러한 하락세를 피하지 못해 최근 발표한 1분기 실적에서 전년 대비 매출과 이익이 감소했다.
이달 초 발표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매출은 80억 홍콩달러(10.2억 달러)로 3.2% 감소했으며, 조정 EBITDA는 23.7억 홍콩달러로 5.5% 하락했다. 회사 측은 메인 플로어 테이블 게임 베팅액 감소가 매출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MGM차이나는 마카오에서 두 개의 카지노를 운영하고 있다. 마카오 반도의 MGM 마카오는 메인 플로어 테이블 게임 베팅액이 전년 대비 7.4% 감소한 133.7억 홍콩달러를 기록했으며, 코타이 스트립의 MGM 코타이는 4% 감소한 148.5억 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일반 카지노 플로어의 실적 부진에 더해 고액 베터를 대상으로 하는 VIP 사업은 더욱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MGM 마카오의 VIP 매출은 2024년 1분기 121.5억 홍콩달러에서 올해 1분기 62.4억 홍콩달러로 절반 가까이 급감했다. MGM 코타이의 VIP 매출도 530억 홍콩달러에서 262.7억 홍콩달러로 반토막 났다.
MGM차이나는 VIP 사업 급락의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았으나, 경쟁사인 샌즈차이나(1928.HK)가 같은 기간 VIP 매출이 10%만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중국 고액 베터들의 감소뿐만 아니라 경쟁사로의 고객 이탈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핵심 게임 사업 외에도 호텔 운영 실적도 부진했다. 93% 이상의 객실 점유율을 유지했음에도 객실 가격을 반영한 가용 객실당 수익(revpar)은 크게 하락했다. MGM 코타이의 revpar는 2024년 1분기 2,631홍콩달러에서 2,066홍콩달러로 21% 하락했으며, MGM 마카오는 3,061홍콩달러에서 2,346홍콩달러로 23% 급감했다.
VIP 사업의 회사 특정적 문제와 별개로, MGM차이나는 마카오 전체 게임 시장의 둔화라는 더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모든 카지노 운영사들은 수년 전 마카오의 게임 규제 변화에 따른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VIP룸 운영 외주화 금지, 정킷 운영자의 수수료 제한 등 규제 변화와 함께 중국의 해외 도박 마케팅 단속 강화로 운영사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과 최근의 경기 둔화가 겹치면서 마카오의 연간 게임 매출이 과거 최고치인 3,000억 파타카(374억 달러)로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전쟁도 마카오 게임 산업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마카오는 미국과의 직접적인 교역은 적지만, 무역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둔화가 도시를 찾는 관광객들의 지출 여력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마카오의 6대 카지노 운영사들이 게임 라이선스를 갱신할 당시, MGM차이나는 정부로부터 게임 테이블을 36% 증가한 750개까지 운영할 수 있게 되면서 최대 수혜자로 꼽혔다. 그러나 산업 전반의 둔화와 VIP 사업의 압박이 가중되면서 사자 로고로 유명한 이 카지노 운영사의 위상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